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산업재해에 대한 기업의 형사책임-영국의 기업과실치사법 도입을 중심으로- (Criminal liability for industrial accidents -Focusing on introducing Corporate manslaughter and corporate Homicide act 2007-)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4.12
27P 미리보기
산업재해에 대한 기업의 형사책임-영국의 기업과실치사법 도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홍익법학 / 15권 / 4호 / 401 ~ 427페이지
    · 저자명 : 박혜림

    초록

    최근, 한국사회에서 세월호 사건, 환풍기 추락사고 등 산재로 인한 사망사고가 많아지면서 사회전반에 있어서 안전에 대한 위기의식이 고조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산재 사망사고에 관하여 산업안전보건법을 중심으로 업무상 과실치사죄가 함께 적용되고 있는데, 법인인 기업과 대표이사 및 경영진의 처벌이 미비하자 이에 대한 처벌 강화의 움직임이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2007년 영국에서 입법되었던 기업의 과실치사법의 도입과 더불어, 업무상 과실치사죄의 형량을 늘리는 등의 개정 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영국의 기업치사법은 크게 두 가지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첫째, 기업이라는 법인의 형사책임을 명시화했다는 큰 특징을 가지고 있다. 책임이 있는 특정한 개인과 분리하여 독립적인 기업의 책임을 물을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동일시 원칙의 법리를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법은 사업주로 행위의 주체를 규정하고 있으나 양벌규정에 의해 법인의 독자적인 책임이 아니라 선임감독의무로서 2차적 책임자로 두고 있다. 둘째, 근로자를 비롯한 모든 사람을 산업재해의 보호객체로 보고, 의무위반을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무위반에 의한 형사책임을 법인에게 전가시킴에 있어서는 이사급의 경영진의 관여가 실질적이었는지, 산업안전보건법(가이드라인, 매뉴얼 등)의 준수, 위반행위의 정도, 조직내부의 관행 및 시스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일정한 상황아래의 합리적인 수준 이하였는 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법은 산업재해의 보호객체를 근로자에게 한정하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영국의 기업치사법과 유사하게 의무위반이 포괄적으로 규정되어 있고 형사처벌도 강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집행과 법 적용에 있어서의 한계로 법인 및 경영진에 대한 책임이 제대로 규명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법에서 행위의 주체에 있어서 법인을 독자적으로 행위 주체로 볼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그리고 산업안전보건법의 의무위반행위로 인한 사망사고에 대한 형사책임을 구성하는 요건을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현재 산업안전보건법 상의 의무위반에 대한 법원의 판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의한 규칙의 기술준수가 유일한 기준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의무위반에 따른 산재사고에 대한 형사책임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기술준수 위반이라는 요건 이외의 추가적인 요건들을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산업안전보건법의 준수 뿐만 아니라, 기업이 처한 상황에서의 합리적인 법인상 설정과 더불어 기업의 시스템, 내부 관행등의 기업문화를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영어초록

    Recently, As the falling Ferry with 300 over students' deaths and the collapse of a resort causing 30 over college students' deaths happened, the press and people laced into the weak criminal liability on a corporate and a senior management. The furry criticism on reckless corporate has aroused public discussion on the corporate's strong criminal liability. One of this movement is the introducing corporate manslaughterer and murder act 2007 in United Kingdom. Corporate manslaughter and murder act in United Kingdom(CMMA) implies three meanings. Firstly, it is clearly stipulated that a corporate has a individually criminal liability on industrial disasters. It is meaningful to overcome previous "identification doctrine" by not specifying a liable individual. Second, the range of the victims in CMMA is not limited to "worker" and the range of the breach of the duty is more general. But CMMA requires the senior management's substantial involvement on the accident, the compliance with the health and safety code(including guideline, mannual), the extent to the breach of the duty, and the corporate's custom and system. Third, it states "unlimited fine" in punishment. The Korea Health and safety law (KHSL) is similar with the corporate manslaughter and murder act in United Kingdom in that it is provides that a corporate is liable fora breach of general duty and has a strong criminal liability except the range of the victims of the accident. However the enforcement and application on KHSL are insufficient to charge the criminal liability to a corporate and a senior management difficult. To improve this, firstly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criminal liability of the corporate. Then we should satisfy essential requirements of corporate's criminal liability. It is useful to require not only the compliance with the health and safety code but also a hypothetical prudent and reasonable corporate in the circumstances and corporate ethos such as a safety culture, system and cust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홍익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