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년층 1인 및 다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차이와 거주실태 비교에 관한 종단적 분석 (Socio-economic Disparities and Housing Inequality Between Young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22.12
24P 미리보기
청년층 1인 및 다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차이와 거주실태 비교에 관한 종단적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시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도시행정학보 / 35권 / 4호 / 65 ~ 88페이지
    · 저자명 : 이현정, 임태균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층 가구를 가구규모에 따라 1인 및 다인 가구로 나뉘어 사회경제적 차이와 거주 격차를 파악하고자 이들의 거주환경과 주거비 부담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 영향 변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한국복지패널(KoWePS) 5차와 10차 웨이브를 분석한 결과, 청년층 가구는 임금근로자로 1인 가구는 고학력의 20대 후반 미혼였으며 다인 가구는 3인 가정의 30대 중반 기혼 남성 가구주였다. 조사 기간 중 가구주 간 교육수준 차이의 급감으로 고학력화, 1인 가구의 여성화와 다인 가구의 맞벌이 경향이 두드러졌고, 다인 가구의 소득 급증으로 1인 가구와의 소득 격차가 약 2배에 달하였다. 청년층 가구의 비수도권 거주 비율이 높은 가운데 주택점유형태, 주택유형, 주택규모에서 상향이동이 나타나 1인 가구는 침실 2실이 포함된 초소형 아파트 외 공동주택의 임차인이었고, 다인 가구는 3실의 소형 아파트 소유주였다. 극소수의 가구만 최저주거기준이 미달된 주택에 거주하였으나 주택 구조 및 성능 평가에서 미흡한 주택에 거주하는 가구가 훨씬 많아 절대적 기준과 상대적 평가 간의 상당한 괴리가 확인되었다. 또한 주거 및 복지서비스 이용이 대폭 늘어났고 현금급여 서비스에 편중되었다. 대체로 거주환경과 제 요소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구체적으로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았으며 1인 가구는 여가와 소득 만족도, 다인 가구는 주거와 직업 만족도가 높았고 조사기간 중 가장 불만스러웠던 소득은 다소 개선되었다. 회귀분석 결과, 여가와 직업 만족도가 전체 거주환경 만족도의 설명변인이었고, 소득은 반비례 관계의 슈바베 지수와 비례 관계의 소득대비주거비에 대한 결정변수였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socio-economic disparity and housing inequality between young single-person (SPHs) and multi-person households (MPHs), utilizing the 2010 and 2020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Induced by demographic alterations, the empirical research assessed residential quality and housing expenses, traced the changing nature of their housing status over a decade, and identified its determinants. The statistical analyses indicate that young households were predominantly salaried workers, and SPHs were largely unmarried in their late-20s while most MPHs were a family of 3 headed by married men in their mid-30s. During the studied period, both groups became highly-educated, single women notably increased, and a steep rise in wage of MPHs led to a widening income disparity between the groups. Also, it’s obvious that many young households could move up the housing ladder in aspects of housing tenure type, housing structure type and housing size. Almost all SPHs were renters in a very small-sized multi-family housing with two bedrooms and MPHs owned small-sized apartments with three bedrooms. Although most of the young households lived in adequate housing met by the current statutory minimum standard, many saw their dwellings to fail to fulfill their calibrated expectations on decent housing. Further, a growing number of young households relied on social services, heavily on cash transfer, and most were satisfied with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and its quality. It’s found that the two groups were most satisfied with family life, their income dissatisfaction was slightly sustained over a period of 10 years and while SPHs were satisfied with leisure and income, MPHs were with housing and job. In addi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residential assessment was affected by satisfactions with leisure and job, and income became a determinant over a period of time that had negatively influenced on Schwabe’s index but positively affected housing expense ratio. Thus, this research implies that socio-economic discrepancies and housing inequity between two distinctive groups were deepened over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시행정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