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타 버린 세대(Nasl-e Sukte): 이란 도시 중상류층 젊은이들의 자아와 일상적인 저항 (The Burnt Generation(Nasl-e Sukte): Self and Everyday Acts of Resistance among the Privileged Iranian Youth)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4.07
41P 미리보기
불타 버린 세대(Nasl-e Sukte): 이란 도시 중상류층 젊은이들의 자아와 일상적인 저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인류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인류학 / 47권 / 2호 / 45 ~ 85페이지
    · 저자명 : 구기연

    초록

    이란은 전체 인구의 64퍼센트가 35세 이하 젊은이로 구성된 '젊은 이란'이다. 이란의 인구학 계보를 다시금 그려 내고 있는 젊은 세대는 1979년 이슬람혁명 이후 이란·이라크전쟁 종결과 전통적인 이슬람사상에 따른 출산 장려정책, 그리고 낮아진 결혼 연령 등의 결과인 이른바 베이비붐 세대이다. 이란의 젊은 세대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시아 무슬림의 운명을 갖고 태어나며, 교육과 사회화를 통해 끊임없이 무슬림 키즈로 키워진다. 하지만 '요즘 아이들'은 현 정부가 가장 경계하고 사회체제를 뒤흔들 수 있는 세대로 인식되며, 스스로 '불타 버린 세대'라 부른다. 전 지구화 현상의 가장 큰 수혜자인 젊은 세대는 새로운 문화현상을 끊임없이 구성해 가고 있으며, 사회 전반적인 변화를 적극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저자는 특히 개혁적인 성향의, 도시 중상류층 젊은이들의 삶을 통해 이들 젊은 세대의 국가에서의 위치, 전통적인 가치와의 관계, 그리고 그들이 직면하고 있는 사회적 현실과 심리적인 사안 그리고 공사 영역에서의 상이한 자아 재현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젊은 세대는 공공 영역에서 엄격한 이슬람 규범에 따라야 하고, 사적인 공간마저 이슬람의 이름으로 늘 통제의 주 대상자가 된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다른 어떤 세대보다 이슬람과는 멀어진 세대로 여겨진다. 이란의 젊은 세대는 엄격한 사회 통제 이외에도 아직도 뿌리 깊게 자리 잡은 전통 사회 구조 속에서도 갈등을 겪고 있다. 이란 젊은이들은 국가의 통제와 억압이라는 위험한 상황에 맞서 카멜레온처럼 자신의 색을 변화시킬 수밖에 없다. 사회의 이러한 압력과 감시는 더욱더 사람들을 무대 뒤로 숨게 하고, 사람들의 욕구는 정부와 사회가 억누를수록 더욱 커져 자아를 드러내고 싶은 개인들은 불법적으로 사적인 영역으로 숨어들게 되는 것이다. 이란의 젊은이들은 전통과 전 지구화, 이슬람과 서구 대중문화의 대립 구도 속에서 늘 부딪히며 갈등을 느낀다. 무엇보다도 이슬람 공화국의 출현으로 강제화된 이슬람적 규율은 이란 사람들에게 자신의 자아를 전면에 드러낼 수 없고, 연기해야만 하는 현실을 가져왔다. 이러한 금지된 문화를 향유하고, 자신의 세속성·개혁성을 유지하기 위해 그들은 보호색으로서의 거짓말을 하나의 전략으로 택하기도 한다.
    지금 이란 젊은이들은 대중적인 우울과 불만이 가득 찬 사회구조 속에서 개혁의 희망이자 동시에 위험한 존재로 인식되어 이란 사회의 개혁 대 보수, 전통 대 세속의 갈등의 중심에 있다. 이란인들의 공적·사적 영역에서의 연출되는 자아의 모습이나 감정 구조와 갈등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그 문화의 배경이 되는 사회적·경제적·종교적 환경을 총체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

    영어초록

    Iran is a relatively young nation in terms of demography, considering 64% of the population is under the age of 35. This is due to the significantly high birth rate following the 1979 Islamic Revolution and the Iran-Iraq War which lasted from 1980 to 1988. At the same time, official youth unemployment in Iran has reached as high as 30%. This figure is expected to increase as more Iranians reach the working age each year. Iranian youth born after the 1979 Islamic Revolution are broadly called Nasle-Sevom (the Third Generation) as they are born with the destiny of Shi'a Muslim. They have been raised as "good Muslim citizens" under a strong regimen of Islamic socialization. Nasle-Sevom as a generation is considered "the most dangerous generation" by the Iranian state that cynically refers to them as Nasl-e Sukte (the Burnt Generation).
    Based on an ethnographic research study on youth in an affluent neighborhood in Tehran, this paper explores the self and emotion among the Iranian youth in relation to the religious and ideological dictates of the Iranian state. The ideological directions of the Islamic Republic have decisively affected the young Iranians' identities and self-representations. After 1979, Iran had dramatic ideological changes to the extent of 'cultural revolution'. As a result young people and citizens in Iran had to perform as 'faithful Muslims' in the public sphere.
    In this research, I focus on the privileged youths who are well-educated and mostly enjoy the consumption of globalized cosmopolitan culture. Pivotal to the civil movement since President Khatami, this generation has attempted to make its own public space by collectively enjoying illegal popular culture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world through new media and technology in private spaces. In this way, they construct their own space from the private, which clashes with the Islamic public space morally and legally sanctioned by the State. The everyday totalitarian surveillance of Islamic rules makes it difficult for people to trust each other and the young represent themselves differently with range-mohit (a protective col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화인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