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빈곤층 거주지의 공간적 집중에 대한 연구: 기초생활수급인구를 중심으로 (A Study of Spatial Concentration of the Poor Residence: Based on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3.12
22P 미리보기
빈곤층 거주지의 공간적 집중에 대한 연구: 기초생활수급인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시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도시행정학보 / 26권 / 4호 / 489 ~ 510페이지
    · 저자명 : 박윤환

    초록

    본 연구는 빈곤의 공간적 집중을 다루었던 국내 관련 선행연구들이 주목하지 않았던 기초생활수급자 인구 자료를 활용하여 빈곤의 공간적 패턴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정확한 소득자료를 공간적으로 미시적 수준의 분석단위에서 획득할 수 없기 때문에 빈곤층의 공간적 패턴을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본질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 하지만 절대 빈곤에 시달리고있는 정부의 공적부조의 대상인 기초생활수급자 집단은 제한적이나마 빈곤의 공간적 집중을 측정하고 그 현황을 살펴보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별 단순히 빈곤층 인구의 비율로 지역의 빈곤 집중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적 맥락을 최대한 반영한 보다 구체적이고 분석적인 거주지 분리 지표들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초생활수급자 집단을 소수집단으로, 비수급자 집단을 주류집단으로 각 각 설정한 후 거주지분리의 4가지 주요소인 균일성(evenness), 고립성(isolation), 군집성(clustering), 집중성(concentration)의 차원에서 개발된 4가지 거주지분리 지표들을 통해서 경제적 거주지분리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 251개 시군구의 빈곤층 거주지분리 정도를 탐색적으로 도표와 지도를 통해서 보여주었는데 특히 지도그리기를 통한 시각적 비교 분석을 통해서 어느 지역에서 빈곤의 공간적 집중현상이 심각한지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기초생활수급인구의 비율은 지방의농촌지역들이 압도적으로 수도권 및 주요 광역 도시권보다 높았지만 거주지분리의 패턴은 다른양상으로 나타났다. 보편적으로 가장 강력한 거주지분리 지수로 평가되는 균일성을 측정한 수정된 상이지수는 물론 노출성을 측정한 고립성 지수나 집중성을 측정한 상대적 집중성 지수에 대한측정결과들이 모두 농촌지역들에 비해서 수도권 및 일부 광역권 도시들이 훨씬 더 심각한 빈곤층거주지분리 수준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에 비해서 군집성을 측정한 공간적 군집성 지수는 비교적뚜렷한 공간적 패턴을 보여주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어초록

    The residential pattern of the poor has emerged an important topic in urban researchdomain because of strong and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urban problems.
    However, prior urban literature in Korea has failed to pay scholarly attention to analysis forspatial concentration of poverty. This research aims to measure the poverty concentration atthe county level(Si-Gun-Gu) and investigate how spatial pattern of the poor residence variesby the region. Given the limitation of insufficient data that fails to provide geographicallymicro-level poverty-related variable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utilize the official datafor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and measure 4 major segregation indices acrossthe entire 251 counties in the nation with respect to spatial dimensions of evenness,exposure, clustering, and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overty rate appears tobe higher in rural areas than in the metropolitan urban areas. Meanwhile, the segregation forthe poor at urban areas(particularly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tends to be more seriousthan rural areas although the spatial pattern for clustering index does not display similarregional variation that other segregation types commonly illustrate. Therefore, this papertries to not only arouse the necessity of measuring the spatial concentration of poverty butconfirm the possibility of applying major segregation indices in terms of capturing spatialdynamics of pover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시행정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