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항 북부 연일층군의 학전층과 두호층의 해면침골과식물규소체 산출에 의한 고해양환경 고찰 (A Consideration of Paleo-oceanographic Environments by Sponge Spicules and Phytoliths from the Hakjeon and the Duho Formations in the Yeonil Group in the Northern Area of Pohang)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1.12
19P 미리보기
포항 북부 연일층군의 학전층과 두호층의 해면침골과식물규소체 산출에 의한 고해양환경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서(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서연구 / 33권 / 4호 / 89 ~ 107페이지
    · 저자명 : 고영구, 오강호

    초록

    경북 포항북부의 신생대 퇴적층인 연일층군에서 산출되는 규질 미화석인 해면침골과 식물규소체들의 산출상을 바탕으로 당시의 고해양환경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이 층군의 학전층과 두호층에 해당하는 덕장리의 3개 지점과 청진리의 3개 지점에서 규조토와 이암 시료를 채취하였다. 또한 청진리의 CJ1 지점에서는 층의 상하에서 각각 시료를 채취하였다.
    이 규조토와 이암시료들에서는 총 13유형에 해당하는 해면침골들과 10개 형의 식물규소체가 산출되었다. 해면침골과 식물규소체는 주로 형태적 특성에 따른 형태분류를 하였다. 이들 규질미화석 개체들은 덕장리 시료들이 대체로 청진리에 비해 산출빈도가 높았는데 이런 경향은 해변침골에서 분명한 차이를 나타내는 반면, 식물규소체형들은 미미한 차이만이 인식될 정도였다.
    시료들에서 산출되는 해면침골들은 거의 대부분이 megasclere 유형이었으며 단일 봉상체를 가지는 monaxon 유형에 해당하였다, 이 monaxon 유형에서는 diactinal인 oxea와 monatinal인 style이 우점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 중, oxea가 style의 개체빈도를 능가하는 지배적인 우점유형이었다. Oxea는 산출개체빈도가 가장 우세할 뿐만 아니라 형태적 변이도 광범위하였다. Oxea는 봉상체의 길이와 직경에서도 변화폭이 컸으며 내부 관의 전개에서도 착색 정도, 직경, 충전물 등에서 많은 변이를 보였다. 또한 이 유형은 대체로 완만하게 굴곡되는 활모양 봉상체가 대부분이나 일부 직선상 전개가 관찰되기도 하였고 일부 개체들에서는 굴곡이 양방향으로 전개되기도 하였다. 일부 oxea 봉상체 표면이 미소 박판으로 이탈하는 박리나 미세한 관상 함몰부 등 용식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모습들이 확인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변이 모습들은 monactinal의 style에서도 일부 관찰되기도 하였다. Diactinal의 다른 유형들인 acanthoxea, strongyle, tylostrongyle 등은 산출빈도가 매우 적었다. Monactinal에서도 style을 제외한 다른 유형인 acanthostyle, acanthotylostyle, tylostyle 등은 드물게 산출되었다. 또한 해면침골의 산정에 포함되지 못한 파손된 상당수의 봉상체 등은 대부분 oxea와 style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Monaxon을 제외한 다른 해면침골 유형들인 discorhabd(?), oxyaster(?), triode, isochela(?) 등은 전체적으로 1~2개체 정도만이 확인되었다. 이 중, discohabd(?)로 믿어지는 해면침골은 봉상체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들의 배열에서 이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해면침골들의 산출상은 상당부분 이지성 기원의 해면침골 개체들이 포함된 연근해 환경을 시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지역 시료들에서 산출된 식물규소체는 주로 형태적 특성에 기반을 두고 식물규소체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런 분류 관점에서 이들 식물규소체형들은 10개 형태가 산출되었다. 이들 식물규소체형들은 다면체 모습의 polyhedral 형이 낮은 빈도지만 대부분 시료에서 산출되었으며 덕장리에서 상대적으로 다양한 형태들이 출현하였다. 이외에 elongate형, tabular형(?), trapeziform형(?) 등은 덕장리와 청진리에서 극소수 산출되었으며 lanceolate형(?), cuneiform형(?) 등 다른 형태들은 특정 시료들에 국한되어 소수의 개체들이 불규칙한 산출을 한다. 이러한 식물규소체형들의 산출상은 아마도 초본류와 목본식물 기원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런 해면침골과 식물규소체 형들의 산출에서 연구지역 연일층군은 주변 육지에 다양한 식생이 분포하고 해수에 의한 이송이 활발했던 연근해 환경에서 퇴적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To consider paleo-oceanographic environments on the Yeonil Group in the northern area of Pohang, diatomite and mudstone samples from the Hakjeon and the Duho formations of the group were analyzed in the scope of the occurrences of sponge spicules and phytoliths from the formations. A total of 13 sponge spicule types and of 10 morphological phytolith forms were identified from the samples in the above formations of Deokjang-ri and Cheongjin-ri areas. The siliceous microfossil frequencies are higher in the Hakjeon Formation relative to the Duho Formation, and the frequency trend is remarkable in sponge spicules.
    Sponge spicules from the samples belonged to megascleres mostly composed of monaxons with a bar. The monaxons are mainly oxeas, diactinals, and styles, monactinals in type. Of the yielded spicules from the samples, oxea was the most dominant and widely variable, in bar morphology and type. The morphological variations in oxeas were remarkable in bar geometry, canal form in bars, and banding form. In some oxeas, dissolved features as thinly plucked bar surfaces and depressions were observed. Other diactinals including acanthoxea were sparse and, similarly, other monactinals except styles were also rare in the frequencies of the samples. Other sponge spicules except monaxons were very rare in the samples. Additionally, plentiful destroyed spicule bars from the samples might be originated from oxea and style types on the bases of arrangement and bar form.
    Minute silica bodies belonging to phytoliths in morphology were classified into phytolith forms from the samples. Yielding very low frequencies, polyhedral forms in the phytolith ones were relatively constant from the samples. Other phytolith forms irregularly occurred and were very rare in the samples.
    From the above occurrences of sponge spicules and phytolith forms in the samples, it is inferred that the Yeonil Group in the study areas was deposited in nerictic environments influenced by transportation due to active sea waters and by surrounding land vege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