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리학적 행복 연구를 위한 시론 - 서울에 거주하는 청년층 및 노년층 심층 면담 결과를 사례로 - (A Spatial Engagement of Happiness: A Case Study on Youth and Elderly Residents in Seoul, South Korea)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2.12
17P 미리보기
지리학적 행복 연구를 위한 시론 - 서울에 거주하는 청년층 및 노년층 심층 면담 결과를 사례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리학회지 / 57권 / 6호 / 531 ~ 547페이지
    · 저자명 : 신혜란, 채상원

    초록

    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통해 계량화, 국가 간 비교에 치중된 기존 행복 논의의 한계를 비판하며 행복에 관한 지리학적 접근을 시도한다. 개인들이 삶의 과정에서 체득한 행복에 관한 인식, 경험, 대응 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그 안에서 드러나는 공간과 장소의 역할을 논의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역량 접근 및 공간적 역량 개념을 활용하였으며, 심층 면담의 결과를 1) 행복의 정의, 2) 행복 요인, 3) 행복 전략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는 서울에 거주하는 청년층이나 노년층 각 9명, 총 18명의 심층 면담 결과이며, 이들은 행복과 관련된 담론 및 정책에서 문제시되는 두 연령 집단이라는 측면에서 연구참여자 선정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이 행복을 정의하는 방식은 선택할 수 있는 자유와 깊은 연관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사례에서 이러한 연관이 보다 분명하게 드러나는 경향이 있었으나 노년층의 사례에서도 시대적 배경, 생애주기에 따라 개인이 갖게 되는 부담 등 간접적인 언급을 통해 행복과 자유의 연관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행복 요인의 측면에서는 개인의 성취, 성과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이는 과도한 경쟁이 한국인들을 불행하게 한다는 통념과 배치되기 보다는 병존하고 있었다. 행복 전략의 측면에서는 가족 중심의 인간관계 및 주어진 상황에 대한 적응이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었다. 둘째, 공간 및 장소는 개인의 삶과 경험을 맥락화/의미화하는 요소로써 행복을 구성하고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서울이라는 도시가 갖는 맥락 및 상징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청년층에서는 주거의 자유 및 개인적 성취로, 노년층에서는 행복의 매개로서 공간, 서울이 의미화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거시적 담론, 수치화된 지표를 통해 드러나지 않는 개인의 행복의 다양한 지점들을 밝히고, 그 과정에서 공간이 의미화되는 방식에 주목함으로써 행복에 관한 지리학적 논의에 기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ndeavors to add onto the happiness debate that compares the happiness levels of different countries to quantify happines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collects information on individuals’ perception, experience, and strategies of happiness that they have learned over the course of their lives. It then applies this information to a discussion of what roles space and place play in individuals’ happiness. Employing Sen’s capability approach and the concept of spatial capability as theoretical framework, the analysis of the fieldwork is divided in three categories: 1) definition of happiness, 2) happiness factors, and 3) happiness strategie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 total of 18 people living in Seoul. We concentrated on the young and elderly as these two age groups are considered problematic in discourse and policy related to happi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view subjects were asked to define happiness. Many characterised happiness as the freedom to choose for themselves, particularly in deciding their residence and mobility especially in relation to living in Seoul. Second, interview subjects were invited to identify those factors as an important part of their happiness. Most regarded individual achievements as an important factor to their happiness and considered living in Seoul as an indicator of their achievement. Conversely, many deemed excessive competition as a factor in impeding happiness. Third, the interview subjects were asked to describe their happiness strategies. Many cited family-oriented relationships and adaptation to a given situation as happiness strategies, adding that space and place were valuable tools in the development of their happiness strategies. In studying individual happiness and paying attention to the way space gains meaning in the proces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geographical discussion of happiness that has been overlooked by the macrodiscourse and quantitative indicat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리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