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금 주도 성장과 이윤 주도 성장: 포스트 칼레츠키안 성장 모형과 정책적 함의 (Wage-led Growth and Profit-led Growth: Post Kaleckian Growth Model and Policy Implication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5.06
22P 미리보기
임금 주도 성장과 이윤 주도 성장: 포스트 칼레츠키안 성장 모형과 정책적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질서경제학회
    · 수록지 정보 : 질서경제저널 / 18권 / 2호 / 113 ~ 134페이지
    · 저자명 : 홍태희

    초록

    본 연구는 포스트 칼레츠키안 경제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조차 마련되지 못한 경제학계의 연구 공백을 메우기 위해 시행되었다. 포스트 칼레츠키안 경제학은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의 한 갈래로 칼레츠키와 케인즈의 영향을 받은 학자들이 주도되어 만든 비주류 경제학으로 주로 거시경제학 영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칼레츠키안 경제학의 전개 과정을 거시 성장 모형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이러한 경제 모형이 대안 거시경제학으로의 가능성은 있는지, 현실에 조금 더 부합한 거시경제 모형인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포스트 칼레츠키안 성장 모형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다양한 선행 실증 분석 연구 결과를 비교 정리하며, 이러한 연구 결과가 가지는 현실적 함의를 검토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포스트 칼레츠키안 거시 성장 모형과 그에 따른 경제성장 전략이 현재 고실업과 저성장은 물론 디플레이션의 위협 속에서 부채주도 거시경제 운영으로 버티고 있는 세계 경제의 고질적 상황을 타개할 이론적이며 정책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지를 확인한다.
    연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포스트 칼레츠키안 성장 이론의 핵심 모형인 Bhaduri and Marglin(1990) 모형을 이용한 연구의 전개 과정을 살펴본다. 특히 분배율의 변화가 거시경제에 미치는 경로를 확인한다. 그리고 이를 응용한 선행 연구 결과를 분류하여 특정 국가 성장 모형과 성장 체제의 특징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포스트 칼레츠키안 성장 모형을 기본으로 한 성장 전략이 현실 거시경제에서 어떤 함의를 가지는지를 진단한다. 마지막으로 포스트 칼레츠키안 성장 모형이 대안 성장 모형이 되기 위한 가능성을 살펴보는 동시에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을 지적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포스트 칼레츠키안 경제학이 가지는 대안 경제학, 특히 성장 전략으로의 강점을 인정하지만, 현실에서 함의를 갖기 위해서는 좀 더 다양하고 심도 있는 이론적이며 실증적인 연구 축적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urveys the studies about the effect of income distribution on economic growth in using the Post Kaleckian growth model. The Post Kaleckian growth model is a kind of Post Keynesian economic model, which explains the key features of Keynes’s and Kalecki’s analysis of capitalist economies and examines distributional issues and distributional conflict for economic outcomes. Issues of this kind of macro model are back on the research agenda since the Great Recession.
    The Post Kaleckian macro model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effective demand, include distributional conflict between wages and profits. The Post Kaleckian growth model is based on a demand-driven distribution and growth model for an open economy inspired by Bhaduri and Marglin (1990), which allows for either profit- or wage- led growth. On the one hand, higher real wages increase demand, which stimulates output. On the other hand, higher real wages increase the cost of production. This reduces profits, which has a negative effect on investment. This Post Kaleckian growth model allows for studying the impact of functional income distribution on the growth in demand.
    In this study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 of the Bhaduri-Marglin model will be discussed. It applies a single equation approach, estimating the distribution on the demand aggregates and summing up these effects in order to obtain the total effects of distribution on GDP growth.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most of countries are wage-led growth regime domestically, but overall a profit-led growth regime including open economy. This study suggests the alternative model to integrate various dimensions of income distribution into theory and empirical models.
    This paper begins with the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Post Kaleckian macro model, which is based on Hein and Vogel (2008), and then will continue to investigate in the next paragraphs: the survey, development and sugges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질서경제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