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납축전지 열화 예측 모델 개발 (Building battery deterioration prediction model using real field data)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8.06
22P 미리보기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납축전지 열화 예측 모델 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능정보연구 / 24권 / 2호 / 243 ~ 264페이지
    · 저자명 : 최근호, 김건우

    초록

    현재 전세계 배터리 시장은 이차전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실제로 소비되는 배터리 중 가격 대비 성능이 좋고 재충전을 통해 다시 재사용이 가능한 납축전지(이차전지)의 소비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납축전지는 복합적 셀(cell)을 묶어 하나의 배터리를 구성하여 활용하는 배터리의 특성상 하나의 셀에서 열화가 발생하면 전체 배터리의 손상을 가져와 열화가 빨리 진행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기계학습을 통한 배터리 상태 데이터를 학습하여 배터리 열화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제 현장에서 배터리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센서를 골프장 카트에부착하여 실시간으로 배터리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학습 기법을 적용한 분석을 통해 열화 전조 현상에 대한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총 16,883개의 샘플을 분석 데이터로 사용하였으며, 예측 모델을 만들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의사결정나무, 로지스틱, 베이지언, 배깅, 부스팅, RandomForest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의사결정나무를 기본 알고리즘으로 사용한 배깅 모델이 89.3923%이 가장 높은 적중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날씨와 운전습관 등 배터리 열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추가적인 변수들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으나, 이는 향후 연구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배터리 열화 예측모델은 배터리 열화의 전조현상을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배터리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이에 따른 비용을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Although the worldwide battery market is recently spurring the development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lead acid batteries (rechargeable batteries) which have good-performance and can be reused are consumed in a wide range of industry fields. However, lead-acid batteries have a serious problem in that deterioration of a battery makes progress quickly in the presence of that degradation of only one cell among several cells which is packed in a battery begins. To overcome this problem, previous researches have attempted to identify the mechanism of deterioration of a battery in many ways. However, most of previous researches have used data obtained in a laboratory to analyze the mechanism of deterioration of a battery but not used data obtained in a real world. The usage of real data can increase the feasibility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findings of a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odel which predicts the battery deterioration using data obtained in real world. To this end, we collected data which presents change of battery state by attaching sensors enabling to monitor the battery condition in real time to dozens of golf carts operated in the real golf field. As a result, total 16,883 samples were obtained. And then, we developed a model which predicts a precursor phenomenon representing deterioration of a battery b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ensor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s initial independent variables, we used 1) inbound time of a cart, 2) outbound time of a cart, 3) duration(from outbound time to charge time), 4) charge amount, 5) used amount, 6) charge efficiency, 7) lowest temperature of battery cell 1 to 6, 8) lowest voltage of battery cell 1 to 6, 9) highest voltage of battery cell 1 to 6, 10) voltage of battery cell 1 to 6 at the beginning of operation, 11) voltage of battery cell 1 to 6 at the end of charge, 12) used amount of battery cell 1 to 6 during operation, 13) used amount of battery during operation(Max-Min), 14) duration of battery use, and 15) highest current during operation. Since the value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lowest temperature of battery cell 1 to 6, lowest voltage of battery cell 1 to 6, highest voltage of battery cell 1 to 6, voltage of battery cell 1 to 6 at the beginning of operation, voltage of battery cell 1 to 6 at the end of charge, and used amount of battery cell 1 to 6 during operation are similar to that of each battery cell, we conduct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verimax orthogonal rotation in order to mitigate the multiple collinearity problem. According to the results, we made new variables by averaging the values of independent variables clustered together, and used them as final independent variables instead of origin variables, thereby reducing the dimension. We used decision tree, logistic regression, Bayesian network as algorithms for building prediction models. And also, we built prediction models using the bagging of each of them, the boosting of each of them, and RandomFores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ediction model using the bagging of decision tree yields the best accuracy of 89.3923%.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that the additional variables which affect the deterioration of battery such as weather (temperature, humidity) and driving habits, did not considered, therefore, we would like to consider the them in the future research. However, the battery deterioration prediction model proposed in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enable effective and efficient management of battery used in the real filed by dramatically and to reduce the cost caused by not detecting battery deterioration according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능정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