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구의 자산계층별 초중고 교육비지출 격차 분해 - 1인 학생 자녀를 중심으로 - (Decomposition of the Disparity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Expenditure by Household’s Asset Class: For One Student)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2.12
21P 미리보기
가구의 자산계층별 초중고 교육비지출 격차 분해 - 1인 학생 자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30권 / 4호 / 330 ~ 350페이지
    · 저자명 : 이강용

    초록

    · 연구 주제: 본 연구는 자산분위를 저자산계층과 고자산계층 가구로 구분하여 교육비지출 격차 요인을 Oaxaca 방법을 활용하여 분해한다.
    · 연구 배경: 주택가격의 급등 및 코로나 19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더불어 고교 무상교육이 시행된 상황하에서 자산의 다소 관점으로 교육비지출의 격차를 살펴보는 것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열악한 저자산계층의 교육비지출에 대한 현상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의미있는 연구로 판단된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선행연구들은 교육비지출 결정요인을 규명하는 것에 그치거나 교육비 불평등 요인을 지니계수와 십분위배율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는 차별적으로 자산관점에서 교육비 지출요인을 통하여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화하였다.
    · 연구 방법: 2019년부터 2021년 까지 3년간의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회귀분석 기반의 Oaxaca(1973) 분해방식을 활용한다.
    · 연구 결과: 첫째, 자산계층 고저에 따른 교육비지출 격차는 연간 577.9만원으로 나타난다. 이를 특성효과와 계수효과로 나누어 보면, 가구의 인구사회학적 및 경제적 특성으로 설명할 수 있는 특성효과는 76.6%로, 가구특성으로 설명할 수 없거나 자산계층 고저에 따른 계수효과는 23.3%를 차지한다. 둘째, 세부적 결정요인으로 분해하면 학력, 소득, 자산 등 사회경제적 변수 수 등이 격차를 크게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난다. 셋째, 연도별로는 교육비 격차가 2020년 정점을 기록한 후 2021년에는 축소되었다. 학교급별로는 2021년도에 초등학생 가구에서는 고저 자산계층 간에 교육비 격차가 확대되는데 비하여, 중고등학생 가구에서는 저자산계층의 상대적 지출 증가로 격차가 축소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본 연구는 교육비지출 불평등의 요인을 종래의 소득계층 관점에서 진일보하여 부동산가격 급등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고자 자산관점으로 논의 영역을 확장한 것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고 판단한다.

    영어초록

    · Research topics This paper divides the wealth deciles into low- and high-income households, and decomposes the factors of disparity in education expenditures using the Oaxaca method.
    · Research background: Examining the gap in education expendi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assets under a situation where free high school education was implemented along with a surge in housing prices and economic difficulties due to COVID-19 understands the phenomenon of education expenditures of the low-income class with poor socioeconomic status. It is considered to be a meaningful study.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Previous studies have only investigated the determinants of education expenditure or analyzed the factors of inequality in education expenditures using the Gini coefficient and deciles multiplier. However, this study quantified the impact on inequality through education expenditure fa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asset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 Research method: Oaxaca (1973) decomposition method based on regression analysis is used using household financial welfare survey data for 3 years from 2019 to 2021.
    · Research results: First of all, the gap in education expenditure according to the high and low of the wealth class is 5.779 million won per year. If we divide this into the characteristic effect and the coefficient effect, the characteristic effect that can be explained by the dem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is 76.6%, and the coefficient effect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or the coefficient effec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ealth class accounts for 23.3%. econd, when decomposed into detailed determinants, the number of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and assets appear to be factors that greatly increase the gap. Third, by year, the education cost gap peaked in 2020 and then narrowed in 2021. By school level, in 2021, the gap in education expenses between the wealthy classes will widen in elementary school households, but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gap appears to be narrowing due to a increase in the relative spending of the low-asset class.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expands the discussion area from the perspective of assets to consider the effects of a surge in real estate prices by taking the factors of education expenditure inequality one step furth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ventional income cla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