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남아에서 한류의 특성과 문화취향의 초국가적 흐름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Wave in Southeast Asia and the Transnational Flow of Cultural Taste)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2.03
50P 미리보기
동남아에서 한류의 특성과 문화취향의 초국가적 흐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송학회
    · 수록지 정보 :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 13권 / 1호 / 5 ~ 54페이지
    · 저자명 : 김수정

    초록

    본 연구는 베트남, 싱가포르, 태국, 인도네시아의 텔레비전 시청자 총 35명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동남아에서 한류가 수용되는 방식과 수용의 경험을 탐색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론적으로는 초국가적 흐름이 대중문화물의 무국적성과 연관된다는 일부 주장에 대한반증을 시도한다. 동남아에서의 한류 경험은 타 지역과 구분되는 특성으로서, 여러 외국문화물을 오랫동안 수용해온 동남아 지역의 다양하고 개방적인 문화지형을 이해하는 데서 시작되어야 한다. 그러한 특성은, 한류의 유입과 수용 과정에서 발견되는 각국의 상이한 특성들을 부정하지 않으면서, 동남아 수용자들이 상당히 유사한 한류 취향과 경험을 공유하는 데 기여해왔다. 동남아에서 한류의 수용은 시장으로서의 인식이나 정부 지원의 테두리를 넘어서 문화생산의 협력과 생성의 문화적 실천의 모습 역시 보여 준다.
    동남아 수용자는 여러 타국 대중문화물을 동시에 수용하지만, 한국 대중문화물의 내용과 스타일로부터 한국인의 가치와 한국적 삶의 양식을 식별해내고 있었다. 또한 최근 젊은 세대에서 인터넷을 통한 한류 수용이 보편화되고 있지만, 지난 10여 년 동안 기간매체인 텔레비전을 통한 한류 수용은 한류에 대한 취향을 다양한 계층과 세대로 폭넓게 분포시키며 일상적 삶의 일부로 만들어왔다. 결론에서 본 연구는 동남아에서 한류 수용이지정학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소원한 한국과 동남아 국가 간에 상호 존재를 인지하고 관심을 갖게 하는 경험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실제로 대중문화적 취향의 초국가적 공유라는 의미를 지님을 주장한다.

    영어초록

    The paper aim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Korean wave is consumed across Southeast Asia, and to search for the sociocultural meanings. To do this, in-depth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of total thirty five people living in Vietnam, Singapore, Thailand, and Indonesia are conducted. The paper locates the Korean wave in the Southeast pop cultural context characterized as openness and diversity due to the historical, socio-cultural, and political experiences. In this vein, Southeast audiences consume the Korean wave as rising but one of pop cultures among those of many other countries. Without denying each country’s specificities found in the receiving process of Korean wave, their open and diverse cultural atmosphere contributed to sharing similar attitudes and experiences of the Korean wave. Southeast Asian audiences recognize Korean values and way of life represented in Korean pop culture, and distinguish its style from other countries’ pop cultures. In addition, broadcasting Korean pop culture for the last ten years has made the tastes of Korean wave available to the wide population across class, gender, and generation in each country as part of their daily life. In conclusion, the reception of the Korean wave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Southeast audiences’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despite that Korea and Southeast Asians have been culturally and geo-politically distanced from each other. As a result, the Korean wave can be a cultural taste shared by Southeast and Korean audiences beyond national boundaries. Furthermore, the paper tries to clear conceptual confusions among ‘non-nationality’, ‘hybridity’, and ‘transnation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