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교육 관련 서술 (A study on the description related to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9.03
30P 미리보기
초⋅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교육 관련 서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육사학 / 41권 / 1호 / 81 ~ 110페이지
    · 저자명 : 정지연, 이상무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중․고등학교의 역사교과서에서 교육과 관련된 문제들을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학에서 교육사를 가르치는 교수자의 입장에서는 대학에서 교육사 관련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어떠한 배경지식을 갖고 수업에 임하는 지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초․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서 교육 관련 내용들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사회과 국정교과서와 중학교 역사과 검인정 9종 교과서, 고등학교 한국사 검인정 8종 교과서를 검토하여 역사 교과서에서 교육제도 및 과거제도와 관련된 부분을 어떻게 서술하는지 확인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초․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의 교육관련 서술 부분을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역사 교과서의 교육관련 서술은 분량이 충분하지 못하여, 교육제도나 과거제도에 대한 깊이 있는 내용을 담고 있지 못하였다. 둘째, 교육에 중심을 둔 서술이 아니기 때문에, 교육제도나 과거제도에 대한 정치적 해석이 많았다. 셋째, 시기별로 교육 관련 내용을 다루는 비중이 일정하지 않으며, 조선 후기와 현대 부분의 서술 내용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같은 주제를 두고 교과서 별로 상반된 내용으로 서술하는 부분도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각 급 학교의 역사 교과서의 서술이 이러한 상황에서 대학에서 교육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수자들은 다음과 같은 부분을 염두에 두고 교육사 관련 강의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우선 학생들이 교육관련 단어들은 들었어도 그 배경은 충분히 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해당 교육기관과 관련된 배경이나 인과관계 등을 충분히 설명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들이 정치적인 해석에 많이 익숙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교육제도를 교육적 관점에서 볼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사 연구자들이 다양한 시기의 연구를 좀 더 활발히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역사 교과서의 내용은 학계의 연구 성과에 바탕을 둘 수밖에 없으므로, 관련 내용을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것도 결국 교육사 연구자들이 연구물들을 충분히 축적해야 가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The lecturers who cover history of education at universities need to check what kind of background knowledge the students have in their classe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way of description related to education in the history textbooks. For this study, we examined government-published elementary school level social studies textbooks, nine different kinds of government-authorized middle school level history textbooks and eight different kinds of government-authorized high school level Korean history textbook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escription of educational problems throughout history is lacking, and textbooks do not contain in-depth content about the systems of education and selection. Second, because education is not the center of narrative, there are many political interpretations about the systems of education and selection. Third, the proportions of dealing with educational content are not consistent by period, and the descriptions of education during late Joseon Dynasty and modern Korea are very inadequate. Fourth, there is incompatible content among textbooks to describe the same subject. In this circumstance, lecturers of history of education should keep in mind the following points for their lectures. Lecturers should explain the background and causality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detail to aid students’ comprehension. Lecturers should present educational systems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rather than employing a political interpretation. Researchers of history of education should actively be conducting focused on various periods. The contents of history textbooks are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academia.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add to or revise the content related to education after researchers accumulate enough relevant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