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낭시의 ‘무위의 공동체’와 대화의 미학 (Nancy's Inoperative Community and Dialogical Aesthetic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4.10
28P 미리보기
낭시의 ‘무위의 공동체’와 대화의 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42권 / 3 ~ 30페이지
    · 저자명 : 유현주

    초록

    본 논문은 낭시의 ‘무위의 공동체’ 이론을 통해 공동체 자체에 대한 사유와 동시대 공동체 예술에서 전개되는 대화의 미학을 다룬다. 낭시에 따르면, 공동체의 정체성은 공동체의 본질을 공동체 내부에 절대화시키는 내재성의 신화에 불과하며, 개인 즉 단수성이 서로를 향한 외존의 관계로 존재할 뿐이다. 낭시의 ‘무위의 공동체’ 이론은 그러한 내재성의 신화로서 전체주의, 곧 나치주의와 공산주의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하며 존재 자체의 물음을 물었던 하이데거의 실존철학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에 대한 물음을 묻는 것이다. 낭시가 말하는 ‘무위’란 비-행동(non-agir)에 가까운 개념으로서 죽음이라는 실존적 유한성을 의식하고 자신의 존재를 벗어나 탈자태의 자세로 공동체와 대면하는 수동성을 함의한다. 이것은 자신의 실존을 함께 발효시켜가는 공동체에 개인을 열어두기 위해 사용된 개념이다. 하이데거의 ‘세계-내-존재’와 ‘공동 존재’ 개념을 가져와 낭시는 자신의 ‘무위의 공동체’의 ‘공동-내-존재’와 ‘외존’, ‘탈자태’의 개념으로 전유한다. 동일한 본질을 갖는 공동체가 아닌 공동체 내부의 차이들을 수용하고자 하는 낭시의 ‘무위의 공동체’는 오늘날 새 장르 공공미술과 대화의 미술들을 비롯해 협력적 작업을 전개시키는 다양한 공동체 미술의 담론과 관련을 맺는다. 권미원은 공동체 관련 예술들이 공동체를 대상화하기보다는 집단적 예술실천으로 지속적인 공동체의 문제를 제기하고 창안해가는 공동체 예술에 공감한다. 케스터는 개방적 분위기에서 ‘차이’의 문제에 접근하고 대중매체에 오염되지 않는 소통의 방식으로 대화를 발생시키는 대화의 미학의 예술작업들을 지지한다. 결론적으로, 오늘날 대화의 예술들은 대화를 통해, 공동체 내부의 서로 다른 실존들을 이해하고 함께 성장해가도록 하는 낭시의 ‘외존’ 개념을 잠재적으로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essay deals with a thought on community per se and dialogical aesthetics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art through Nancy's inoperative community. According to Nancy, the identity of community is nearly the mythology of ‘immanentisme’, which functions to make the nature of community absolute within it. Also it exits only in terms of the relation of ex-position, which individuals, singularité stand towards each other. The theory of Nancy's inoperative community starts with criticism on totalitarianism, Nazism and Communism, and asks the question of what community is on the basis of existentialism in which existence per se is asked by Heidegger. Déœurvrement to which Nancy refers is very similar to non-praxis(non-agir) and implicates the passivity that is our being conscious of the finitude of existence towards the death and faces the community while taking the stance of ‘extase.’ This concept is intended to open individuals to community with which we could come into effect ourselves. Nancy brings the concepts of Heidegger, ‘In-der-Welt-Sein’ and ‘Mitsein’ and appropriates them into his own concepts of Inoperative Community which are ‘being-in-common’, ‘ex-position’, ‘extase.’ Nancy's Inoperative Community, which holds not homogeneous identity of members of it, but differences of community inside, relates to various discourses of collaborative-community art including new genre public art. Kwon Miwon sympathizes with community arts which raise issues of sustainable community and create something for them as collective artistic praxis rather than such arts to objectify community. G. Kester supports artworks of dialogical aesthetics, which help us approach to issues of ‘difference’ and create dialogues in different way of communication not polluted by mass-media in open atmosphere. In conclusion, today dialogical arts have potentially Nancy's concept of ex-position which encourages us to understand others and grow with them in community through dialog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학예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