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Sandel의 공동체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Critical Consideration on Sandel’s Communitarian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5.11
28P 미리보기
Sandel의 공동체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제도∙경제학회
    · 수록지 정보 : 제도와 경제 / 9권 / 3호 / 53 ~ 80페이지
    · 저자명 : 박상수

    초록

    Sandel은 Rawls를 통해서 자유주의를 비판하고 있으며, 그의 중요한 기여는 공동선과 도덕적 가치의 중요성을 자유주의자들에게 각인시켰다는 것이다. 그의 견해에 대한 검토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로, 자신의 육체에 체화된 육체적 및 정신적 능력 혹은 재능이 공동체에서 형성되었으므로 자신의 재능에 대한 완전한 사유를 주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그 결과 공동의 재산을 공동체 모두의 좋은 삶을 위해서 활용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유도할 수 있다. 좋음이 옳음보다 우선한다는 공동체주의의 핵심적인 기본 사상은, 비록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라고 할지라도, 사유재산제도를 옹호하는 자본주의체제의 성격을, 기본적으로, 점점 희석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로, 개개인은 공동체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경험적 자아이며, 그에 따라 우리의 선택은 공동체의 공동선이나 도덕성의 영향으로 인한 연대감에 상당히 많이 의존한다는 것은 정말로 진실이지만, 개개인은 결코 동일한 인격을 갖지 않은 굉장히 다양한 성격을 보유한 자아들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들로 하여금 공동선을 추구하도록 만든다는 것은 아무리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라고 할지라도 궁극적으로 개인적 자유를 억압할 수밖에 없으며, 결과적으로 자유주의에 반하는 체제로 귀결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생각한다.
    셋째로, Sandel의 분권형 정치적 민주주의는 주민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통해서 그들의 의견이 많이 그리고 자주 반영될 수 있는 민주주의 제도의 실현을 위해선 어느 정도까지는 바람직한 견해지만, 독재정권의 출현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강력한 공동체주의가 공동선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다른 가치관이나 문화 등을 무시하거나 배척하거나 더 나아가서는 제거시키려는 경향에서 종족, 종교와 종파 및 국가 간 분쟁이 발생한다고 해석할 수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로, 현재는 바람직한 도덕적 가치라고 인정되는 것도 50년 혹은 100년 후에는 바람직하지 않은 도덕적 가치로 인정될 수 있다. 따라서 완전하지도 않은 도덕적 가치를 추구함으로써 일부의 사람들을 수단으로 다루거나 혹은 고통 받게 할 것이 아니라, 개인적 자유를 최대한 허용하는 방향으로 전통과 사회제도를 점진적으로 진화시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일부 학자들은 공동선을 사적 및 공적 영역에 상이하게 적용하여 논리적으로 모순적인 행동을 사회 구성원들에게 요구하거나 혹은 여러 정책들을 취합 및 채택하여 정치적 구호로 공동체주의를 이용하기도 한다.

    영어초록

    Sandel criticized liberalism by his critique on Rawls, and his valuable contribution is that he carved the importance of common good and moral value in the mind of liberalists. The results of critical consideration on his view are as follows: Firstly, as the physical and mental ability or talent embodied in one's own body forms in the community, it is impossible to argue the perfect privatization of one's own talent so that we can go to the conclusion that we should utilize our common property for the sake of every one's good life. The essential basic communitarian thought, namely, that the good is prior to the right, may dilute gradually the character of capitalism which argues for private ownership.
    Secondly, I think it is really true that each person is an experienced self who receives the influence of community so that each choice depends on the attachment influenced under the common good and morality of community. And so I think each person is a self who has a diverse character. However, I think that making such self pursue the common good may oppress the individual liberty and then be ultimately concluded to despotism.
    Thirdly, the decentralized democracy Sandel supports is somewhat a desirable system for the sake of the realization of democracy which reflects people's opinion through their participation, but we must always consider the provability of the emergency of despotism. And I think that many conflicts in ethnic, religious, sectarian and national conflicts happen as the strong communitarianism tends to disregard, to drive out or to sweep other cultural value in pursuing the common good.
    Fourthly, the moral values which suppose to be now desirable may be undesirable after fifty years or one hundred years. We must not treat some people as a means nor give suffering to them by pursuing the imperfect moral values. Instead, I think it is desirable the tradition and social system will be permitted to evolve gradually to the way the personal liberty is allowed to expand maximally.
    Lastly, some Korean scholars call for the logically contradictional action to the members of community by applying the common good to the private and public realm differently, or other some scholars use the communitarianism as political propaganda by collecting and mixing the popular and diverse poli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