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목회에서 공동체의 역할 - 20세기 종교교육에서 공동체의 역할에 대한 역사적 고찰 - (The Role of Community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 Through the Survey of the Role of community and its variations in 20th Religious Educatio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07.09
26P 미리보기
교육목회에서 공동체의 역할 - 20세기 종교교육에서 공동체의 역할에 대한 역사적 고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13호 / 181 ~ 206페이지
    · 저자명 : 주인옥

    초록

    이 논문은 믿음 공동체의 신앙 교육적인 기능에 대하여 20세기 미국의 종교교육학자들의 교육 이론을 네 시대로 구분하여 고찰함으로 미래의 믿음 공동체의 참된 교육 기능의 방향을 제시한다. 고찰의 대상은 1900-1920년대의 George Albert Coe, 1940-1950년대의 Shelton Smith, 1960-1970년대의: Ellis Nelson, 그리고 1980-2000대에 각기 다른 접근을 시도한 네 사람의 종교 교육학자들, Daniel Schipani, Robert Golman, Maria Harris와 Gabriel Moran, 그리고 Elizabeth Caldwell이다. Coe는 당시 미국의 진보주의의 영향 아래 교육이 교회 갱신의 강력한 수단이며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믿고 예배 공동체에 임재하시는 하나님과 그 하나님을 믿는 [형제들]의 친교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강조했다. Shelton Smith는2차 대전 후 진보주의와 자유주의 신학에서 나온 종교교육과 구분하여 신조된 기독교 교육이라는 개념을 정립시켰다.
    Nelson은 사건(events)을 통한 교회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는데, 인간은 자신이 속한 문화의 영향 속에서 자신의 신념을 형성하게 되는 것처럼 마찬가지로 믿음 공동체는 가치와 사랑과 헌신을 형성하여 그리스도인들이 믿음과 삶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어서 20세기말의 다양하여진 종교교육의 형태는 믿음 공동체에 풍부한 자원이 되는 동시에 장애가 되기도 하였다. 이 논문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20세기 초부터 말까지 신앙공동체의 교육적 기능은 방법과 접근을 달리하면서 끊임없이 강조되어 왔다.
    이 연구에 기초하여 필자는 21세기의 믿음 공동체의 신앙 교육의 기능이 다양한 사회의 요구와 문화를 반영하며 그 문화를 읽을 줄 아는 회중과 지도자가 협력하여 교회의 참된 교육 기능을 높여 가야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교회 안에 개인의 가치와 믿음과 헌신을 형성하여주는 참된 믿음의 문화를 형성해가는 믿음 공동체의 신앙교육적인 힘과 역할을 강조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role of community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searched through the survey of the role of community and its variations in 20th Religious education. I presuppose that the community contributes to religious education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Depending on the era in which theories were developed and on the educational theorists, the role of community is seen in various ways. Mainly, I will examine the major time periods in the twentieth century which produced these theories. These time periods are 1900-1920, 1940-1950,1960-1970, and 1980-2000 in U.S.A. Coe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church as educator: A church makes its members more than the members make the church. To Coe Christian worship is thus realization of the democracy of God-realization by imagination, by fresh insight, by rectification of purposes, by the coincident consciousness of God and our fellows. Worship ha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growing social intelligence and sense of purpose. Smith, with the rise of Neo-Orthodoxy and its theologians, Karl Barth, Paul Tillich, and Reinhold Niebuhr led Christian educators to seek distinctiveness from progressivism and initiate 'Christian education. For Nelson, the church or faith community exists in the reality of human existence, culture, and human beings. The formative power of the congregation's life of faith stresses that revelation discloses the real meaning of tradition and allows a person to transcend the self and to stand outside the culture. In the last two decades of 20th century, the influx of has becomes a source of community and obstacle to the community of faith. The fact that role of the community of faith in Christian education has expanded tells us that we need to know the dynamics of the faith community. Through the survey of the role of community in the twentieth century, it is realized that the faith community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orming the culture of faith community that teaches and learns with compassion and partnership in the way that Jesus educated people. It is also a process of becoming whole with God's promise for freed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