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야 연맹체의 연구 (A Study of Gaya Feder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23.11
27P 미리보기
가야 연맹체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87호 / 5 ~ 31페이지
    · 저자명 : 박광춘

    초록

    가야 정치체는 ‘연맹체’로 형성되어 있다는 가정을 전제로 가야의 역사와 문화를 복원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지속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많은 가야 유적의 발굴과 조사를 통해 출토된 인공물을 분석한 결과 가야는 연맹체로 존속하였다는 증거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가야 정치체를 해석하는데 있어 종래의 학설에서 탈피한 새로운 모색을 시도하였다. 연맹의 개념을 가야에 적용할 경우 많은 정치체를 대표하는 맹주국이 외국과의 외교를 담당할 뿐 아니라 주변국의 침입에 대응하기 위한 맹주국 중심의 군사조직체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단 각국의 내치는 맹주국이 불간섭을 원칙으로 하는 조직체가 되어야 할 것 이다.
    연구에 앞서 우선 국내 뿐 아니라 외국 문헌에 가야 정치체가 연맹을 형성했다는 기록이 있는지 먼저 검토하였다. 그러나 어디에도 연맹체의 개념에 부합되는 기록은 전무했다. 더욱이 고고학적으로 가야에 맹주국이 존재했다면 맹주국의 문화가 유적과 유물에 어떻게든 반영되어 주변 정치체에 영향을 끼쳐야 한다. 현재 이러한 고고학적 실체를 대가야연맹설로 적극 설명하고 있지만 5세기 후반이라는 연대적 한계와 함께 대가야 토기 양식 설정에 있어 객관성이 부족한 문제점을 꾸준히 제기된 바 있다. 그렇다고 해서 가야 정치체 중 가장 먼저 국가 체제를 완성한 금관가야를 폄하하는 것은 아니다. 금관가야의 경우 다른 정치체에 비해 일찍 국가 체제를 완성하고, 선진 문화를 번성시켰다는 증거가 대성동고분군 발굴조사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금관가야의 번성은 다른 정치체에 비해 빠르게 진행되었으나 연맹체를 형성했다는 고고학적 증거를 찾기 어려웠으며, 대가야는 금관가야보다 더욱 부실한 증거에 의존하고 있다.
    그렇다면 500년 동안 가야가 어떻게 정치체를 유지할 수 있었는가에 대한 대안을 생각해 보았다. 신라의 국경과 인접한 접경지역 정치체는 공통적 문화 요소가 감지되는데, 낙동강 동안에 위치한 창녕의 비화가야와 양산이다. 공통적 문화 요소로는 첫째, 창녕과 양산은 수혈계횡구식석실묘라는 동일한 묘제를 사용한다. 둘째, 기대와 같은 최상층 의례용기가 제작 방식과 문양에 공통점이 있다. 셋째, 지배자의 무덤에서 출토되는 장신구에는 신라적 요소가 짙게 반영되어 있다. 낙동강 동안의 접경지역 정치체는 5세기 이후 나날이 강해지는 신라 군사력에 대응하기 위해 밀접하게 같은 문화로 결속을 다지면서 친신라적 정책을 유지하였다. 이 외의 정치체는 신라와 국경을 접하지 않기 때문에 각 정치체 별로 흥망과 성쇠를 달리 하였다. 그러다가 접경지역의 정치체가 신라의 서진을 막는 방어선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붕괴되자 나머지 정치체도 급속도로 신라에 의해 멸망하게 된다.

    영어초록

    The assumption that Gaya's political entities were formed as a confederation continues to be the basis for attempts to reconstruct the history and culture of Gaya. However, recent analysis of archaeological findings and research on many Gaya relics has yielded insufficient archaeological and documentary evidence to support the idea that Gaya existed as a confederation. When the concept of a confederation is applied to Gaya, it suggests that although many political entities coexisted in Gaya, there was a leading state responsible for foreign diplomacy and military organization to defend against invasions from neighboring countries. Each political entity within Gaya's borders adhered to the principle of non-interference by the leading state.
    This study initially reviewe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to determine if there were records indicating that Gaya's political entities corresponded to a confederation. However, no records were found that aligned with the concept of a confederation. Furthermore, if there had been a leading state in Gaya, its culture should have been reflected in the relics and artifacts of the region. Currently, there is active debate about whether the theory of the Greater Gaya Confederation adequately explains the artifacts and other evidence discovered in the Gaya region,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chronological issues of the late 5th century and the problems related to the concept of Greater Gaya pottery forms.
    In light of these challenges, this study presents an alternative explanation for how Gaya was able to maintain its political entities for five centuries. It is observed that the political entities in the border regions of Gaya, specifically Changnyeong and Yangsan, share similar cultural elements. Firstly, Changnyeong and Yangsan both used the stone chamber tombs in a pit with side door, indicating cultural connections. Secondly, they exhibited common features in their pottery forms, particularly in the uppermost ritual vessels. Thirdly, the jewelry discovered in the tombs of rulers from these regions showed strong Silla influenc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border regions' political entities maintained friendly relations with Silla but failed to resolve conflicts diplomatically, leading to military invasions by Silla. As the defensive lines of these border regions collapsed, the remaining political entities rapidly declined and were eventually conquered by Sil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