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호남가(청계본)의 국어학적 연구 (Linguistic Research on Honamga (Cheonggye Vers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4.04
16P 미리보기
호남가(청계본)의 국어학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6권 / 2호 / 843 ~ 858페이지
    · 저자명 : 손희하

    초록

    호남가(청계본)의 국어학적 연구

    손 희 하

    연구 목적: 이 연구는 호남가(청계본)에 대하여 국어학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문헌학적 분석을 토대로 진행하여 자료를 분석하고, 다른 주요 이본들과도 비교 대조한다.
    연구 내용: 호남가(청계본)의 판본, 표기, 방언 등 언어의 특징과 특이 방언을 분석하고 고찰한 것이다.
    결론 및 제언: 호남가(청계본)는 고창인 박경림 씨가 1911년에 필사한 필사본이다. 연철, 분철, 중철, 과도 분철 표기가 나타난다. ‘ㅅ, ㅈ, ㅊ’ 뒤 반모음 ‘ㅣ’가 상당히 나타나는 등 근대 국어와 현대 국어 과도기 서남 방언 자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표기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가장 두드러진 음운 현상은 전설 모음화, 고부 모음화 등이며, 구개음화, 음절 축약, ‘ㅎ’ 탈락, 원순모음화 등도 나타난다. 대체로 근대 국어와 현대 국어 과도기 서남 방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 이 연구는 호남가(청계본)에 대한 최초의 국어학적 연구라는 점, 당시의 언어 양상과 서남 방언 자료를 고찰한 점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국어사와 방언 연구 활성화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핵심어: 호남가(청계본), 단가, 사설, 신재효, 박경림

    영어초록

    Linguistic Research on Honamga (Cheonggye Version)*





    Heuiha S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namga (Cheonggye version) linguistically. This study method was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including comparison and contrast with other major Honamga version. We are to analyze and consider Honamga (Cheonggye version) in the linguist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bibliographic research, spellings, and dialects. Honamga (Cheonggye version) is a manuscript transcribed in 1911 by Park Gyeongrim, who lived in Gochang. Yeoncheol, jungcheol and buncheol writings are appeared. It is commonly found in literature from modern Korean, and appeared in the southwestern dialect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modern and recent Korean, such as the semi-vowel ‘ㅣ’ appearing significantly after ‘ㅅ, ㅈ, ㅊ’. The most prominent phonological phenomena are frontal vowelization, upper vowelization, palatalization, syllable contraction, ‘ㅎ’ dropping and rounded vowelization. In general, it shows characteristics commonly seen in the southwestern dialects of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modern and rec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Korean linguistic study on Honamga (Cheonggye version) and that it examines the language aspects of that time and the southwestern dialect materials. We hope that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revitalizing research on Korean language history and dialect.


    Key Words: Honamga (Cheonggye Version), Danga (Short Song), Saseol (Song Story), Shin Jaehyo, Park Gyeongrim













    □ 접수일: 2024년 3월 23일, 수정일: 2024년 4월 28일, 게재확정일: 2024년 4월 28일* 이 논문은 호남가노래비 건립추진위원회와 광주문화발전소가 주최한 <호남가 학술대회>(2022. 10.28.) 토론문 중 ‘청계본 신재효 판소리 사설집 소개 일부와 호남가의 방언’을 깁고 더하여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인문사회콘텐츠학회/인문사회21/K교육연구학회 2024년 춘계공동학술대회(2024.4.6.(토) 12:30-16:50, 진도 쏠비치리조트 소강당)에서 발표한 것을 수정한 것임.
    **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Professor Emeritus, Chonnam National Univ., Email: shh@jnu.ac.k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