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훈춘, 청과 조선의 변경 (Hunchun in the History of Chinese-Korean Relation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5.06
39P 미리보기
훈춘, 청과 조선의 변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만주학회
    · 수록지 정보 : 만주연구 / 19호 / 184 ~ 222페이지
    · 저자명 : 김선민

    초록

    오늘날 중국과 북한의 접경지역에 위치한 훈춘 일대에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여러 부족민이 거주하면서 만주지역․중원․한반도의 주변 세력과 접촉하고 교류해왔다. 명대와 조선 전기에 이곳에 주로 거주했던 여진인들은 단일하고 통일적인 집단을 유지한 것이 아니라 세력이 분산된 채 거주지를 계속 옮겨가며 살았다. 명말에 이르러 건주여진이 흥기하여 여진부족을 통합하고 인근의 다른 부족민들을 복속시킬 때까지, 동해 연안에서 흑룡강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의 거주민들은 명․조선․몽골 그리고 북방의 다양한 부족들과 정치적․문화적․사회적으로 교류하면서 계속 변화해갔다. 훈춘을 둘러싸고 전개된 여진-만주인의 역사, 나아가 청과 조선의 역사는 변경이란 근본적으로 유동적이고 가변적인 것이며 따라서 변경을 둘러싼 여러 주체들의 관계가 달라지면 변경의 의미도 함께 변화했음을 보여준다. 중원과 한반도의 정치세력에게 변경이 지닌 정치적․역사적 의미는 시대에 따라 계속 변화했던 것이다. 본고는 훈춘의 지리적 특징, 거주민의 변화, 그리고 주변 세력과의 관계를 통시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만주와 한반도의 밀접한 관계에 주목하는 새로운 한중관계사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history of Hunchun, a remote corner of the Manchurian frontier where the Jurchen-cum-Manchus shared with their Chinese and Korean neighbors. Constant movements, warfare, and trade that took place around Hunchun show that the history of this frontier location cannot be explained in such conventional perspectives as lineal, territory-based, and nation-state centered accounts. During the late fourteenth to early fifteenth centuries, a variety of Jurchen tribal groups, such as Odori, Uriyangkad, and Udike, lived together near Hunchun. It was also the place where the early, ambitious Chosǒn state sought to reach and incorporate into the Korean realm. By the late sixteenth to early seventeenth centuries, the early Manchu leaders, Nurhaci and Hong Taiji, continued to dispatch military forces to the Hunchun region in order to mobilize manpower of tribal groups and strengthen the young Aisin Gurun’s banner system. After the military subjugation of Korea, the Qing and Chosǒn relations were resettled on the ground of the tributary hierarchy, a political setting that led to the development of regular commercial exchanges in the form of frontier market in Hunchun. In 1714 when a regiment colonel (xieling) was appointed in Hunchun, the Qing rule in the northeastern corner was further consolidated. By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Qing government decided to lift the restriction on entry into Manchuria for the purpose of defending its northeastern boundary from increasing threats from Russia, an action that eventually brought a massive wave of Han Chinese immigration in the Hunchun area. At the same period, Chosǒn immigrants also began to cross the Tumen River and settled in this frontier region, and this Korean diaspora led to the formation of Korean Chinese (Chaoxianzu). Hunchun provides an interesting case to demonstrate the ways in which China and Korea have entangled in their frontiers throughout their long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