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리스 쿠랑의 서한과 한국학자의 세 가지 초상 -『플랑시 문서철』(PAAP, Collin de Plancy Victor)에 새겨진 젊은 한국학자의 영혼에 대하여- (Letters of Maurice Courant and Three Portraits of a Korean Scholar -A Study on the Spirit of a Korean Scholar Engraved on PAAP, Collin de Plancy-)

6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5.04
67P 미리보기
모리스 쿠랑의 서한과 한국학자의 세 가지 초상 -『플랑시 문서철』(PAAP, Collin de Plancy Victor)에 새겨진 젊은 한국학자의 영혼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44호 / 75 ~ 141페이지
    · 저자명 : 이은령, 이상현

    초록

    본고의 목적은 첫째, 프랑스외무부 문서고에 소장된 모리스 쿠랑(MauriceCourant)이 콜랭드 플랑시(VictorCollindePlancy)에게 보낸 육필서한 33종 전반을 학계에 소개하는 것이다. 둘째, 그 속에 새겨져 있는 쿠랑의 초상을 면밀히 재구해보는 것이다. 쿠랑의 한국학 논저와 그의 중요한 이력 그리고 그가 서한을 보냈던 장소를 겹쳐볼 경우, 쿠랑의 서한은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다. ① 쿠랑이 한국 서울에서 근무하던 때(1891.7.3.~1892.2.25.)에 보낸 11종의 서한, ② 쿠랑이 통역관으로 중국, 일본 등에서 근무하다가 결국 전문적인 학자의 길을 선택하여 프랑스에 정착하게 된 과정 속(1892.6.17.~1899.12.18.)에 보낸 10종의 서한, ③ 동양어학교 교수임용이 좌절된 이후 리옹대학에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결국 중국어과 교수로 임용되어 활동한 과정 속(1902.7.14.~1921.4.24.)에 보낸 12종의 서한이다.
    ①의 서한들에는 극동 미지의 땅에 배치된 ‘젊은 외교관’ 쿠랑이 플랑시의 도움을 받아 한국의 서적과 그 고전세계를 연구하는 과정이 보이며, ②의 서한들에는 쿠랑이 『한국서지』 1~3권을 홀로 출간해나가며 한국의 문헌자료를 엮어 근대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한국학 전문가’로 성장하는 모습이 담겨져 있다. 물론 쿠랑의 한국학 기획은 불행히도 『한국서지』와 대등한 규모의 새로운 저술로는 구현되지 못했다. 무엇보다 ‘대한제국의 멸망’이란 사건은 그가 발견한 한국고전의 가능성을 구현할 길을 차단한 셈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렇듯 ‘한국학 저술=근대적 지식’이라는 층위에서 구현되지 못한 한국문명의 가능성, 쿠랑이 보여준 낯선 한국문화에 관한 수평적 시선을 ②와 ③의 서한 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 속에는 성숙한 동양학자의 시선에서 한국학 연구와 논저집필을 염원했던 젊은 한국학자의 영혼이 담겨져 있기 때문이다. 이는 『한국서지』만으로는 발견할 수 없는 쿠랑의 모습으로, 때로는 외교관으로 때로는 중국․일본학자로 보이는 프랑스외무성문서고에 잠들어 있던 젊은 한국학자의 초상이다. 쿠랑의 서한문에 담긴 그의 세 가지 초상은 한국학이 제도적이며 학술적으로 부재했던 시기 한국학자의 초상이며 동시에 우리가 복원해야 될 젊은 한국학자의 영혼이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introduce total 33 hand-written letters of Maurice Courant to VictorCollindePlancy housed in the Document Room of French Foreign Ministry; and second, to minutely examine the portrayals of Courant within the letters. Considering the studies on Korea by Courant, his key backgrounds and the places he wrote the letters, the letters of Courant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ime periods:① the 11 letters he wrote during the time he was working in Seoul, Korea (July 3, 1891~February 25th, 1892); ② the 10 letters he wrote during the time he worked in China and Japan as a interpreter, and then, finally settled in 3rd France after choosing to become a professional scholar (June 17th, 1892~December 18th, 1899); and ③ the 12 letters he wrote during the time he was appointed as a Chinese professor at University of Lyon after failing to attain a position at Institut Nationale des Langues et Civilisation 0rientales (July 14th, 1902~April 24th, 1921.) In the letters during the time period ①, the process of Courant, a 'young diplomat' placed in the mysterious land in the Far east, studying classical literatures of Korea under help of Plancy is portrayed. In the letters during the time period ②, the process of Courant's becoming an 'expert of Korean study,' who can produce modern knowledge from classical literature of Korea, through his publication of Bibliographie Coréenne Volume 1~3. Unfortunately, Courant's visions in Korean Study were not substantialized into a new writing comparable to Bibliographie Coréenne. After all, the fall of Korean Empire had eliminated all chances for him to materialize the potentials of Korean classics he had discovered. However, the potentials of Korean civilization that was not realized on the ground of 'writings of Korean study=modern knowledge' and the horizontal perspective on a unfamiliar subject that is Korean culture presented by Courant are still inherent in the letters during the time period ② and ③ because, the spirit of the young scholar, who longed to study and write about Korean study in a mature perspective of an orientalist can be found in those letters. In those letters are the portrayals of young Courant as a diplomat and as a scholar of Chinese or Japanese study that could not be found from reading Bibliographie Coréenne. Thus, the three portrayals of Courant in his letters are a portrait of a scholar of Korean study during the time when Korean study was systematically and academically absent, and at the same time, a spirit of a young scholar of Korean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