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다나카家 소장 고려말기 <毘盧遮那三千佛圖>에 대한 고찰 -三千大天世界에 충만한 法身의 조형적 표현- (‘Vairocana and the Three-Thousand Buddhas’ Painting in the Tanaka Family Collection: Representation of Dharmakāya Filling the Trichiliocosm)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09.03
35P 미리보기
일본 다나카家 소장 고려말기 &lt;毘盧遮那三千佛圖&gt;에 대한 고찰 -三千大天世界에 충만한 法身의 조형적 표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61권 / 261호 / 5 ~ 39페이지
    · 저자명 : 강소연

    초록

    본 논고에서 주제로 삼은 작품 고려시대 <毘盧遮那三千佛圖>는  일본에 유출된 이후, 일본인 田中小左衛門의 家寶로 대대로 내려왔다.이 작품은 일본 전래 이후 <萬佛畵> <一萬三千佛圖> 등으로 불리었고, 근래에 들어서는 <毘盧遮那佛變相圖> <毘盧遮那說法圖> 등의 학술적 題名으로 소개되었다.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는 본 작품을 보다 구체적인 도상 해석을 바탕으로,제 이름을 찾아주고자 시도하였다.논자는 작품의 제명을 <毘盧遮那三千佛圖>로 제시하고, 이를 입증하는 것을 논고의 주된 내용으로 삼았다.
      작품의 형식적 특징으로 먼저 多佛의 기하급수적인 회화적 표현을 들었고,다음으로 석가모니의 협시 聖衆과 일치하는 비로자나의 협시 성중의 구성을 들었다.석가모니 협시 성중의 일원 구성과 일치하는 본 작품의 비로자나의 성중을 바탕으로, ‘석가모니 = 비로자나’라는 등식 관계를 설정하고,응신 석가모니와 법신 비로자나가 궁극적으로 ‘不二’의 관계에 있다는 것을 화엄경에서 구체적인 문구를 들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전통적 조형 원리가 본 작품에도 십분 적용되었음을 설명하였다.
      다불 신앙을 근거로 한 다양한 장르의 작품 중에서도,본 작품은 비로자나를 중심으로 하는 화엄사상을 바탕으로 제작된 것이므로, 화엄사상 범주 안에서 비로자나와 多佛의 표현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졌는지,중국 송대 梵網經菩薩戒本의 사경화 및 일본 唐招提寺 盧舍那佛坐像 등의 비교 작례를 들어 본 작품을 입체적인 조명하였다.
    그리고 본 작품의 도상 내용과 그 사상적 배경을 보다 구체화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고려시대 海印寺 華嚴經 寫經板本의 「華藏世界品」의 變相圖을 들어,이 변상도에 나타난 ‘비로자나와 多佛’의 조형적 표현과 본 작품의 유사성을 비교하였다.화장세계품에 나오는 구체적인 내용들을 통해보면, 이러한 도상이 蓮華藏世界를 장엄하는 ‘毘盧遮那와 그 변화 분신인 化佛’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崇嚴山 聖住寺 事蹟記에 나타난 ‘毘盧遮那와 三千佛’, 그리고 이러한 조합이 안치된 ‘三千佛殿’의 내용을 통해, ‘비로자나와 多佛’의 조합이 전통적으로 어떻게 인식되어 왔는지 그 근거를 제시하였다. 비로자나를 필두로 하는 화엄사상 안으로 포섭되어 정착된 다불 사상의 전통은, 고려시대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로 이어지고, 현재에도 다수의 사찰에서 ‘毘盧遮那와 三千佛’을 모신 三千佛殿을 찾아볼 수 있다.
    본 작품의 사상적 배경의 典據가 되는 구체적인 내용들을 화엄경에서 찾아 華嚴 佛身觀, 즉 ‘三千大天世界에 가득한 法身觀’이 具現된 작례로서 본 작품의 성격을 규정하였다. 본 작품은 화엄경의 특정 品에 국한 된 내용이 아니라, 「如來現相品」「華藏世界品」「世主妙嚴品」「毘盧遮那品」「如來出現品」「入法界品」등 화엄경 전체를 관통하는 전반적인 내용에 나타나는 ‘法界 充滿의 佛身觀’을 재현한 것이다. 작품 정중앙의 法身 毘盧遮那에서 나오는 威神力으로 三千大天世界는 그의 分身인 수많은 化佛로 장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맥락을 근거로 논자는 본 작품의 題銘을 <毘盧遮那三千佛圖>라고 제시하는 바이다.

    영어초록

    ‘Vairocana and the Three-Thousand Buddhas(毘盧遮那三千佛圖)’ is a Korean Buddhist painting from the late Goryeo period. The painting was later taken to Japan and ended up as the heirloom of the family of a certain Tanaka Kozaemon. The painting has been popularly known in Japan as “Ten Thousand Buddhas (萬佛畵)” or “Thirteen Thousand Buddhas (一萬三千佛圖).” In recent decades, the painting has been given more scholarly titles such as “Vairocana Narrative (毘盧遮那佛變相圖)” or “Vairocana Preaching (毘盧遮那說法圖).” This paper attempts to find the painting its proper title, more suited to its iconographic significance and thus proposes to call it “Vairocana and the Three -Thousand Buddhas(毘盧遮那三千佛圖)”.
    As stylistic evidence justifying this title, firstly I point out the legion of Buddhas depicted in the painting. And interpret them as infinite dharmakāya filling the Cosmic Lotus World.I also discuss how the attendants and disciples of Vairocana in this painting are placed in exactly the same positions as those of Śākyamuni in the theme “Śākyamuni Preaching on Mt. Ghṛdrakuta.” This interesting symmetry suggests equation between Vairocana and Śākyamuni. In other words, Śākyamuni, sambhogakāya, was perceived as one and the same with Vairocana, dharmakāya.
    I further argue that of the many metaphysical sources that influenced Buddhist paintings representing a multitude of Buddhas, this particular work embodies the Mahāyāna philosophy, more particularly the Hwaeom(Huayan) tradition, in which Vairocana occupies the central place. In order to prove this point, I turn to the frontispiece of the Brahmajāla Sūtra of Song-dynasty in which multiple incarnation bodies spring out of the cosmic lotus is depicted, and the sited Locana figure with a thousand-Buddha body halo of Tōshōdaji in Japan for comparison. I also take a close look at the frontispiece of the Cosmic Lotus World chapter of the Flower Garland Sutra (Avataṃsaka Sutra) of Haeinsa from the Goryeo dynasty, in order to see how they depict Vairocana and a multitude of Buddhas and to determin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m and the Tanaka collection painting. I argue that these pictorial representations depict Vairocana and his numerous doubles as nirmāṇabuddha (Buddha of Transformation), which together adorn the Cosmic Lotus World. By looking at the temple records of Seongjusa on Mt. Sungeom, where mentions of sculptures representing “Vairocana and the Three Thousand Buddhas” are found, along with the mentions of a certain “Hall of Three Thousand Buddhas,” I attempt to cast light onto the traditional perception of Vairocana and a myriad of Buddhas. The worship of a myriad of Buddhas, transmitted to Korea during the Goryeo dynasty in the context of Hwaeom thought, remained in currency through to the Joseon dynasty. Even today, many Buddhist temples in Korea have a separate hall known as the “Hall of Three Thousand Buddhas,” housing Vairocana and the three thousand Buddhas. My discussion finally turns to the Flower Garland Sutra, as a possible source for this tradition. I argue that the Hwaeom doctrine of buddhakāya of the Buddha body system is the chief source for this work; in other words, the notion that ‘dharmakāya fills the trichiliocosm’. This notion whereby the bodily incarnations of Buddha pervade the dharma realm is an idea recurrent throughout the Flower Garland Sutra, expressed in the chapters of the “Manifestations of the Buddha,” “Cosmic Lotus World,” “Wonderful Adornments of the Lord of the Worlds,” “Vairocana,” “Appearance of the Buddha,” and “Entry into the Dharma Realm.” In the Hwaeom tradition, the trichiliocosm are conceived as a universe adorned by myriads of incarnations of Buddha. Following this line of argument, the paper draws the conclusion that the most appropriate thematic title for the Tanaka collection painting is “Vairocana and the Three-Thousand Buddh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