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시하천 제방사면에 식재한 몇몇 벼과식물의 활착 및 군락유지 특성 (Characteristics of Rooting and Community Maintenance of Some Gramineae planted on Urban Stream Bank Slope)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7.10
18P 미리보기
도시하천 제방사면에 식재한 몇몇 벼과식물의 활착 및 군락유지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경학회지 / 45권 / 5호 / 42 ~ 59페이지
    · 저자명 : 양홍모

    초록

    도시하천 제방사면의 벼과식물 활착과 군락형성 연구를 위해 2010년 10월 중순 물억새, 억새, 띠, 새를 줄떼식재하였 다. 플라스틱 묘상(길이 60cm × 너비 30cm × 깊이 5cm)에 원예용상토를 4cm 깊이로 채우고 실험초종의 씨앗을 2010년 4월 하순 파종한 후 2010년 10월 초까지 형성된 뗏장을 너비 6cm × 길이 15cm × 두께 4cm로 잘라서 제방사면에 수평 폭 약 10∼15cm 간격으로 심었다. 줄떼식재 후 군락형성을 유도하기 위해 2011년∼2013년까지 3년간 매년 2회 잡초를 제거하였다. 실험초종 모두 2012년에 줄떼 간격의 빈 공간을 줄기가 상당부분 채워 초기군락이 형성되었으며, 2013년에는 줄떼 간격의 빈 공간을 거의 채워 군락이 형성되었다. 군락형성 후 2014년과 2015년은 잡초제거 없이 군락유지가 가능한지 관찰하였다. 2013년과 2014년의 줄기수간, 초장간 t -검정과, 2014년과 2015년의 줄기수간, 초장간 t -검정을 수행하였다. t -검정에는 5월, 7월, 9월에 조사한 줄기수와 초장을 활용하였다. 실험초종 모두 2014년의 줄기수와 초장이 2013년보다 줄어들어 ( p <0.001) 잡초의 피해를 입었다. 물억새, 억새, 띠는 2014년과 2015년의 줄기수와 초장에 차이가 없어( p> 0.05) 군락형성 후 잡초제거 없이 군락이 유지되었으나, 새는 2015년의 줄기수와 초장이 2014년보다 현저히 줄어들어( p <0.001) 잡초의 피해가 커 군락유지가 어려웠다. 하천제방사면의 초본류 군락 형성과 유지의 관점에서 줄떼식재의 경우 물억새, 억새, 띠가 적합한 초종으로 나타났다. 실험기간 5년 매년 9월에 조사한 물억새, 억새, 띠, 새의 줄떼식재와 포트식재 간 줄기수와 초장의 t -검정에서, 줄기수는 줄떼식재가 포트식재보다 많았고( p <0.001), 초장은 포트식재가 줄떼식재보다 길었다( p <0.05). 줄기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줄떼식재가 제방사면 유실보호 관점에서 포트식재보다 유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영어초록

    To investigate rooting and community forming ability, sod strips of Gramineae such as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Benth.,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Retz.) Pilg., and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were planted horizontally at a width of 10∼15cm in October 2010 on the bank slope of Kwangju Stream in Korea. Seeds of each species were sown in April 2010 in plastic seedbeds(60cm length × 30cm width × 5cm depth) filled with 4cm of garden soil and grew until October 2010 to form rectangular sod, which then was cut into multiple strips(20cm length × 6cm width × 4cm root depth). Weeds growing on the experiment sites were removed twice a year until those four species had formed a community by 2013. Weeds were not eradicated during 2014 and 2015 to observe whether the community formation can be maintained without weed removal. t -tests on stem numbers and heights in May, July, and September were conducted between 2013 and 2014, and between 2014 and 2015. Stem numbers and heights of the four species in 2014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 <0.001) compared with those in 2013 due to weed damage to their growth in 2014. Stem numbers and heights of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Benth.,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Retz.) Pilg. in 2015 were similar to those in 2014( p >0.05). Stem numbers and heights of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in 2015, however,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those in 2014( p <0.001) due to weed impact on its growth. After three years of weed removal, a community of each species was formed.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Benth.,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Retz.) Pilg. were able to establish communities without any further weed removal.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however, was not able to maintain its community due to considerable damage to its growth caused by weeds even after three years of weed removal.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Benth.,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Retz.) Pilg. are more suitable to sod strip plantings on stream bank slopes in terms of the maintenance of community formation without weed eradication. t -tests on stem numbers and heights each September during the five year experiment period between sod strip planting and potted plants of the four species were conducted. Stem numbers of strip sod plantings were significantly higher( p <0.001) than those of potted one. Heights of strip sod plantings, however, were significantly lower( p <0.05) than those of the potted samples. Therefore, strip sod planting is more advantageous regarding bank slope erosion protection due to the higher number of st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