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유권 이전형태의 사해행위취소에 대한 연구 - 부동산 처분금지가처분의 효력과 관련하여 - (A Study on Setting aside the Fraudulent Transfer of Title with Real Estate - With Consideration on Effect of Injunction Order to Property Transferred Fraudulently -)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0.08
46P 미리보기
소유권 이전형태의 사해행위취소에 대한 연구 - 부동산 처분금지가처분의 효력과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사법 / 27권 / 3호 / 127 ~ 172페이지
    · 저자명 : 김민선

    초록

    대상사례(성남지원2018타경2112)는 수익자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 형태로 사해행위가 이루어 졌고, 취소 채권자들이 가처분을 한 뒤, 선행 근저당권에 의한 경매가 진행되어 근저당 이후 가처분을 포함한 등기들이 말소되었다. 한편 이후 이루어진 배당 절차에서 취소채권자들 중 1인이 배당이의를 통해 배당금을 수령하였고 나머지 취소채권자들은 배당금채권의 양도를 명하는 주문을 얻었으나, 배당이의소의 결과로 수익자 앞의 배당금 채권이 확정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배당표가 확정되어 양도주문이 무용하게 되었다. 이후 취소채권자들은 배당금을 수령한 취소채권자에게 부당이득반환청구를 구하여 사건이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사해행위가 소유권이전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보전처분이 이루어 졌음에도 타인에 의한 경매실행으로 인해 보전처분의 효력이 무용 내지 불명확하게 되고 절차법상으로도 원상회복방법으로 말소등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는 한편, 배당절차에서도 취소채권자의 가처분이 무시되어 수익자의 일반채권자들을 배제할 수 없는 듯하게 운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는 실체법상 사해행위 취소만을 할 수 있음을 규정하고 등기법, 집행법 등 절차법에서 채권자 취소권 행사의 효력을 별도로 정하지 아니하여, 취소채권자의 지위를 단순히 일반 절차 이용자와 차이가 없이 제도운영상 방관한 것으로 비롯된 것으로 생각한다. 미국의 사해행위 취소권(UVTA) 제도에서는 취소채권자가 선압류(pre-attachment)등을 얻어 우선 순위성을 확보하고 후행 권리자 즉 수익자의 채권자들이 취소채권자보다 후순위에 놓이게 된다. 더불어 원상회복 역시 수익자 앞으로의 등기(대항효, notice)를 말소할 필요가 없이 그 상태로에서 집행주문을 명하는 형태를 띤다. 이러한 점에서 미국의 제도에서는 우리의 제도와 같이 취소채권자의 책임재산을 통한 채권 만족이 불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는 미국의 채권자 취소권 제도를 참조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면서, ①주문의 예시와 ②가처분 즉 보전처분의 효력을 배당에서 관철되도록 해석하는 방법 및 ③제3자 이의의 소를 뒤집은 형태의 방법을 제시하여, 수익자 명의상태의 재산을 회복시키려는 문제에 집착하는 데에서 벗어나 취소채권자의 채무자의 책임재산으로부터의 만족을 충실히 구현하는 면으로 제도의 개선을 검토하였다. 현재 채권자 취소권 제도의 절차법상 개정을 통한 개선이 바람직 하지만 개정이 어려운 현 상황이라도 절차를 실질적으로 개선 운영하여 취소채권자의 권리 실현을 명확하게 하도록 제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n the target case (Seongnam Jiwon 2018 Takyung 2112), A fraudulent act was carried out in the form of a transfer of ownership to the beneficiary, and after the creditors got injunction order to property, an auction was conducted by the preceding mortgage and the registrations including injunction order after the mortgage were deleted. On the other hand, in the subsequent dividend process, one of the creditors received dividends through a dividend objection, and the other creditors obtained an order to transfer the dividend bonds (to debtor), but as a result of the dividend objection, the dividend bonds for beneficiaries were confirmed to be non-existent. And these orders were rendered useless, and after, the case is being pursued by seeking a claim for refund of unfair profit from the creditor who received the dividend. In the case where the Fraudulent transfer was made in the form of transfer of ownership, the effect of the preservation measures(injuction) is useless or unclear due to the execution of the auction by others (prior) even though the preservation measures have been mad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visional disposition is neglected and operated as if the beneficiary's general creditors cannot be exclude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actual law only allows the cancellation of Fraudulent transfer and that the procedural laws such as the registration and enforcement laws do not separately define the effect of exercising the right to revoke the creditor, and the status of the creditor is simply observed in terms of the operation of the system without differences from the general procedure users. In the United States, the operation of the right to cancel the fraudulent transfer ensures priority of the creditor by obtaining pre-attachment, etc., and the creditors of the successor, that is, the beneficiary, are placed in the lower priority than the creditor. In addition, the restoration of the property also takes the form of ordering an execution order to property without deleting the registration (counter effect, notice) of the beneficiary. In this respect, as in our law, at least, the satisfaction of creditor’s right through afterward procedure is not unclear. While referring to the U.S. UVTA(UNIFORM VOIDABLE TRANSACTIONS ACT) system, I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hat ① the example of the claim order and ② the method of interpreting the effect of provisional disposition or preservation disposition through dividends, and ③ the execution of the property by the form of a third party objection claim with overturned.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was reviewed in order to devise from the obsession with the problem of restoring property and rather than to focus on the satisfaction of creditor from the property. Although more desirable to improve the system through the revision of the procedural law,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satisfaction of the creditors by substantially improving and operating the procedure even in the present situation, if it is difficult to revise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