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조권의 침해와 수인한도- 공ㆍ사법간 조화를 위한 법정책적 고찰을 중심으로 - (The violation of the right to sunshine and the limit of admission -About the harmony between public law and private law in terms of legal polic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3.12
23P 미리보기
일조권의 침해와 수인한도- 공ㆍ사법간 조화를 위한 법정책적 고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과정책연구 / 13권 / 4호 / 1877 ~ 1899페이지
    · 저자명 : 김판기

    초록

    현재 우리는 일조권을 보호하기 위해 건축법령에 의한 공법상의 건축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일조권이 침해된 경우 그 사법상 구제와 관련하여 위법성의 판단근거로서 수인한도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사례에서는 이러한 공법상의 기준과 사법상의 수인한도라는 기준의 차이로 인해 여러 혼란이 야기되고 있는 현실이다. 예를 들어 모든 건축법령에 근거하여 건물을 건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법상 수인한도 위반을 이유로 하는 손해배상의 문제가 건축주에게 발생하여 각 당사자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그러나 현행법은 공법과 사법상의 기준이 상이하여 모두 일조권의 보호라는 궁극적인 목적에 있어서는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국민에 대한 법적안정성의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일조권의 보호 – 좀 더 넓게는 다양한 환경권까지 포함하여 – 의 문제는 전통적인 공법과 사법의 구분에 따라 그 법의 목적을 구분하여 접근할 것이 아니라 일조권의 보호라는 공통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법과 사법을 조화롭게 접목시키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공법과 사법상의 괴리현상은 어느 정도 해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필자는 본 논문에서 공법과 사법간 기준의 괴리 현상을 수정하는 방안으로 기존의 법체계를 유지하면서 공법과 사법의 접점을 찾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타당함을 주장하였다. 즉, 사법영역에서 확립된 일조권 보호에 관한 기준을 공법영역에 반영하여 일조분쟁의 가능성을 최대한 줄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조권의 침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사법영역에서 이를 사후적으로 구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공법영역에서는 민사판례에서 축적된 기준을 중심으로 건축법령을 개정하고 사법영역에서는 일조보호에 관한 근거규정의 마련과 규정마련 전까지 적용할 해석론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개인적으로 법령의 내용은 상식에 부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일반인의 통념상 이해가 되지 않거나 일반인이 수긍을 하지 못한다면 이는 대개 법에 문제가 있는 경우이다. 법은 누군가를 지배하고 억압하는 수단이 아니라 국민들의 행복과 편안한 삶을 보장하기 위한 도구이어야 한다. 건전한 상식을 가진 일반인이라면 누구나 수궁할 수 있는 상식적인 내용의 법이어야 한다. 이에 공ㆍ사법간 기준의 괴리가 존재하는 현행법 체계는 일조권의 보호와 이에 따른 분쟁의 예방을 위해 어떠한 형식으로든 – 공ㆍ사법간 기준을 일치시키거나, 공ㆍ사법간 괴리를 최소화 하는 방향으로 - 수정이 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Benefits of light that land owners have been enjoying from before shall be legally protected, if it is acknowledged to have an objective beneficial value for life. Here, the phrase "land owners," who have been enjoying the benefits of light as an objective beneficial value for life, refers to residents, such as a land owner, a building owner, claimant on superficies, a person with a right to lease on a deposit basis, or a lessee. A person merely using land and buildings temporarily cannot be a subject who enjoys the benefits of the light.
    We regulate the architecture by the building code for protecting benefits of light and when benefits of light has been violated, we can get relief by the private law about the generally accepted limit.
    The obstruction of light means the disadvantages arising from being blocked from a direct ray of light. If the degree of that interruption exceeds the generally accepted tolerance limits in light of social norms, then the obstruction of light can be viewed as an unlawful and harmful act as a matter of private law.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about the generally accepted limit, the degree of such blockage of must go beyond the generally accepted limit from socially acceptable ideas to be considered a judicially illegal harmful act that goes beyond the scope of a justifiable exercise of a right. Whether the act of blocking sunlight has gone beyond the generally accepted limit from socially acceptable ideas or not shall be judg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otality of the circumstanc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degree of the damages, the nature of the damaged benefit and the social assessment about it, the usage of the harming building,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the relationship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he land, the probability of prevention of harming and avoidance of the harm, whether the regulations under public law has been violated or not, and the progress of negotiation, whether a harmed building is not able to secure a total of four hours or more of sunlight on the day of winter solstice between 8 a.m. and 4 p.m. as a result of the construction of the harming building and is not able to secure sunlight for two hours in a row or more on the day of winter solstice between 9 a.m. and 4 p.m. or not.
    But under public law, it is only limited by the distance between buildings for protecting benefits of light.
    Consequentl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public law and private law for protection of the benefits of light or the right to sunshine.
    In light of the Article 35 (1) of the Constitution stipulating that all citizens shall have the right to a healthy and pleasant environment, an unlawful obstruction of light has the nature of infringement upon not only property rights, but also personal rights to live in a healthy and pleasant environment. Therefore, we should reconcile the regulations under public law with the standard of private law established by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for protection of the benefits of light or the right to sunshi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정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