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택임차인의 임차보증금 보호를 위한 법정책적 고찰 (A study on legal policy for the protection of deposit for lease in housing leas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3.03
22P 미리보기
주택임차인의 임차보증금 보호를 위한 법정책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과정책연구 / 13권 / 1호 / 265 ~ 286페이지
    · 저자명 : 김판기

    초록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임차인의 보호라는 기본 목적을 달성하고 임차인 보호에 충실을 기하기 위하여 여러 제도들을 보완하는 작업이 이루어졌고(확정일자를 받은 임차인의 경우 우선변제권을 인정, 임대차의 존속을 2년간 보장, 임차권등기명령제도의 도입, 주택임대차위원회의 신설 등), 이러한 보완 작업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에 있다.
    주택임차인의 보호와 관련하여 이른바 채권적 전세의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에 임차인 보호의 핵심은 임대차 존속기간 보장을 통한 주거의 안정과 임대차 종료 후 임차보증금의 안전한 회수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는 그 간의 주택임대차보호법의 개정을 보더라도 자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법 개정을 통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보호를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남아있어 한 해에도 많은 사들이 임대차 보증금을 받지 못하고 임차주택에서 쫓겨나는 일이 발생하고 있으며, 임대차 보증금과 관련된 수많은 소송들이 제기되고 있다.
    국민의 주거생활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 1981년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제정된 이래 다양한 형태로 주택임차인의 보호수단이 마련되어 운용이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제정 자체는 법논리적 접근 보다는 임차인 보호라는 법정책적 접근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임대차보증금 보호제도의 개선도 외국의 입법례나 법논리적 접근 보다는 임차인 보호라는 법정책적 관점에서 임대인과 임차인의 이익이 공평하게 보장될 수 있는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일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12년 현재 우리나라의 주택임대차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여전히 주택임차인의 보호가 문제되고 있는 점을 인식하고, 외국의 입법례 및 기존 제도의 반성을 통해 주택임차인의 보호라는 주택임대차보호법의 기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히 주택임대차 보증금 보호를 위한 여러 대안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is to secure stability in the residential life of national citizens, by providing for special cases to the Civil Act with respect to the lease of building for residenc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was amended several times for making up for the weak points in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As a result, new systems were introduced in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as follows: introduction of right to preferential payment, the securing of period of existence, introduction of order of lease registration, introduction of housing lease committee and so on. However, making up for the weak points in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is continued as ever.
    The heart of protection for lessee is the stabilization of residence by the securing of period of existence and safe recovery of deposit after completion of lease. However, blind spot where lessee is not under the protection of the law is existing as ever in spite of efforts. So lessee being thrown out of the house come into being and is facing a lawsuit about deposit.
    Our country introduced the protecting systems after the 1981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However, these protecting systems was approached in terms of legal policy rather than terms of legal logic. So new systems for protection of lessee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legal policy rather then comparative study of foreign laws. New systems for protection of lessee should be in any way fair to the law-abiding citizens(lessor and lessee).
    In this study, I would review and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our housing lease and some problems of our systems for protection of lessee. And then, I would offer solutions to these problems.
    In the first chapter, there would be presented the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is study.
    In the second chapter, I would grasp the present status of our housing lease through various statistical data. And also, I would deduce character in the housing lease system, expressly the lease system of a house on a deposit basis.
    In the third chapter, I would grasp the present status of our various systems for protection of lessee.
    In the fourth chapter, I would address and analyze foreign systems(Germany) for introduction of new systems. On the basis of review and analysis, I would make implications for our systems about systems for protection of lessee.
    In the fifth chapter, I would offer new systems for protection of lessee as follows: introduction of system puting a ceiling on deposit, introduction of depositing system on deposit, introduction of certification system of payment on deposit, improvement of announcement system and so 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정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