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후변화협약과 법정책적 과제로서의 적응성 (Adaptation as a Climate Change Convention and Legal Policy Challenge)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9.12
44P 미리보기
기후변화협약과 법정책적 과제로서의 적응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유럽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유럽헌법연구 / 31호 / 589 ~ 632페이지
    · 저자명 : 성봉근

    초록

    경제와 기술의 발전이 환경 및 자연과 조화되어야 한다는 환경의식이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다수의 국가에서 환경보전의 목표를 헌법적으로 수용해나가고 있다. 환경권은 헌법 제35조 제2항에 따라 법률로 구체화되어나가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기후변화의 협의의 대응성인 온실가스 감축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논의들은 제외하고, 기후변화의 적응성과 직접적으로 관련하여 논의하기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여 검토하였다.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대응성 위주로 요구해 왔던 교토의정서까지의 국제협약들과 달리 파리협정에서는 적응성을 추가적으로 요구하면서 강조하고 있다. 기후변화의 대응성과 달리 기후변화의 적응성에 대한 연구와 법제는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입법을 평가할 때 기후변화의 적응성 요건을 충분히 구비하고 있는지 평가기준으로 활용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기후변화는 국제법적 이행을 위한 과제일 뿐만 아니라 국내법적으로도 입법정책적 과제가 발생하고 있다. 과연 어떠한 국가의 모습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이에 대한 입법을 하는지가 기후변화에 대한 성과를 담보하는 입법정책의 성패가 좌우되게 될 것이다. 이하 국제법적인 전개과정을 간략하게 검토한 뒤 정당하면서도 성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입법정책에 대하여 논의해 보았다.
    기후변화 적응이란 현재 나타나고 있거나 미래에 나타날 것으로 보이는 기후변화의 파급효과와 영향에 대해 자연·인위적 시스템의 조절을 통해 피해를 완화시키거나, 더 나아가 유익한 기회로 촉진시키는 활동을 말한다. 기후변화 적응성은 이러한 활동으로서의 적합한 성질과 요건을 의미하게 된다. 기후변화의 적응성은 기후변화 입법, 행정, 사법이 정당하게 이루어졌는가를 평가하는 중요한 정당화요건이 된다.
    기후변화의 적응성에 대한 다양한 분야별 입법과 행정은 기업과 시민들의 스스로의 자율적인 규제를 최대한 이끌어 내는 것이 시간과 장소 및 비용면에서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기후변화의 적응성을 위해서는 이러한 규제의 주체와 방식에 대한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하여야만 함을 강조하고 싶다.
    기후변화의 적응성을 위한 입법과 행정들은 지방자치단체와의 대화를 통하여 지역적 적응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변화되어야 한다.
    전술한 기후변화의 적응성을 위한 다양한 입법과 행정들은 공적 기관과 민간이 협력하는 ‘공사협동에 의한 행정’(PPP) 패러다임으로 수행하여야 광범위한 지역에 걸친 불확실한 기후변화에 효과적이고 성공적으로 적응해 나갈 수 있다. 이제는 기후변화의 적응성을 위한 입법이나 행정작용에서 적응성에 대한 법제도를 실시하는 정부의 시각에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이를 받아들이는 국민의 시각도 중요한 요건을 설정하여야만 한다. 기후변화 법정책에 협조하는 기업이나 시민들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법과 제도 및 사례 등을 발견하고 만들어가야 한다. 환경영향평가의 적응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환경성 평가의 항목에 기후변화의 적응성 등 중요요건을 추가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실효적인 평가를 통하여 기후변화의 적응성을 제고하기 위한 법과 정책들은 성과를 담보할 수 있다.

    영어초록

    As environmental consensus spreads around the world that economic and technical development must be in harmony with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nd nature,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adopting it in the Constitution with the goal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The environmental right is a character whose standards and contents cannot be presented only by the Constitution, so legislators must continuously enact legislation to predict and cope with environmental risks. In order to justify such legislation, requirements such as the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re needed.
    Unlike the Kyoto Protocol, which calls for responsiveness to greenhouse gas reductions, the Paris Agreement emphasizes the need for additional adaptability. Nevertheless, research on the adaptability of climate change is insufficient.
    Aside from the discussions directly related to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which is a response to consultations on climate change,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a discussion related directly to the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assessment of whether legislation on climate change has sufficient adaptation requirements.
    Adaptation to climate will mean suitable character and requirements as these activities.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s an important justification for assessing the legitimacy of climate change legislation, administration and justice.
    Climate change is not only a task for the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law, but also a legislative policy task in domestic law. Indeed, what kind of country and how it legislate will depend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legislative policy that guarantees the outcome of climate change. After briefly reviewing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law, we discussed effective legislative policies that can be justified and secured.
    Climate change adaptation refers to activities that mitigate damages, or even promote beneficial opportunities, through the adjustment of natural and anthropogenic systems to the impacts and effects of climate change now and in the future.
    In various sectoral legislation and administration on the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t is effective in terms of time, charges and costs to maximize the self-regulation of business and citizens. Therefore, it is emphasized that adaptation of climate change should be able to change the subjects and methods of these regulations.
    Legislation and administration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should be changed to improve regional adaptation through dialogue with local governments.
    The various legislations and administration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described above should be carried out in a Public Private Partnership (PPP) paradigm in which public agencies and the private sector cooperate, effectively and successfully responding to uncertain climate change across a wide range of regions. I can adapt. Now, not only the government's view of the legislative system of adaptation in legislative or administrative action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but also the public's view of accepting it must set important requirements. Find and create laws, institutions and practices that incentivize businesses and citizens to cooperate with climate change legal policy. In order to improve the adapt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t is necessary to add important requirements such as adaptation of climate change to the items of environmental assessment. Through this effective evaluation, laws and policies to improve the adaptation of climate change can ensure perform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럽헌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