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참붕어(Pseudorasbora parva) 심장의 조직학적 연구 (A Histological Study on the Heart in the False dace (Pseudorasbora parva))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5.03
7P 미리보기
참붕어(Pseudorasbora parva) 심장의 조직학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류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어류학회지 / 27권 / 1호 / 26 ~ 32페이지
    · 저자명 : 박노관, 류동석

    초록

    참붕어 심장의 조직학적 구조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관찰하였다. 참붕어의 심장은 정맥동, 심방, 심실 및 동맥구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정맥동은 조직학적으로 심내막, 심근층, 심외막층으로 구분되었고, 심방과 심실은 심내막, 심내막하층, 심외막하층 및 심외막으로 구분되었으며,동맥구는 심내막, 심내막하층, 중간층, 심외막하층 및 심외막으로 구분되었다. 정맥동과 심방, 심방과 심실 및 심실과 동맥구 사이에는 판막이 존재하였다. 정맥동은 대부분 아교질로 구성된 외벽을 가지고 있었으며 정맥동과 심방의 연결부위에는 고리 모양의 조직이 분포하였다. 심방은 얇은 심근층에 의해서 형성된 비연속적인 테두리가 소주들에 의해형성된 해면성 심근을 둘러싸고 있었고, 심외막하층과 소주에는 아교질이 분포하였다. 심실의 심근층은 해면성 심근으로 이루어져 있고, 심외막하층에는 혈관이 분포하였으며, 심실의 심외막하층과 소주에는 아교질이 분포하였다. 동맥구에서 심내막하층에 의해 형성된 이랑은 직경과 길이가 매우 다양했고, 심내막 세포는 볼록한 모양이었으며, 심내막하층의 세포들은 불규칙한 모양이었으나 무리를 지어 분포하지는 않았다. 중간층의 세포들은 배열방향이 다르게 불규칙한 층을 이루었고, 심외막하층에서는 서로 다른 모양의 세포들이 관찰되었다. 동맥구의 심내막하층, 중간층 및 심외막하층에는 아교질과 탄력소가 풍부하였고, 심외막은 한 층의편평한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영어초록

    The histological structure of the heart in Pseudorasbora parva was investigated by lightmicroscope. The heart consisted of four consecutive chambers, the sinus venosus, atrium, ventricleand bulbus arteriosus. The wall of the sinus venosus was divided into endocardium, myocardium andepicardium, and the walls of the atrium and ventricle were divided into endocardium, subendocardium,myocardium, subepicardium and epicardium, and the wall of the bulbus arteriosus was dividedinto endocardium, subendocardium (ridge tissue), middle layer, subepicardium and epicardium. Thevalves were observed in the sinoatrial, artrioventricular and bulboventricular junctions. The sinusvenosus wall was mostly made up of collagen. The rings of tissue were observed at the sinoatrialjunction. The atrium was composed of a spongy trabeculate myocardium surrounded by an externalrim of thin myocardium, and collagens were distributed in the subepicardium and trabeculae. Theventricle was a spongy myocardium with vessels in subepicardium. In the subepicardium and trabeculaeof the ventricle, collagens were distributed. In the bulbus arteriosus, the diameter and length ofthe ridges were differed. The endocardial cells were convex and the non-clustered subendocardialcells showed irregular shapes. The cells of the middle layer were arranged into incomplete layers thatshowed different orientations. The subepicardium was formed by cells of different morphology. Collagensand elastins were demonstrated in the subendocardium, middle layer and subepicardium of thebulbus arteriosus. The epicardium was a single layer composed of flattened cel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어류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