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비공학 분야별 최근 연구 동향:2024년 설비공학논문집 발표논문에 대한 종합적 고찰 (A Review of the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n 2024)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5.06
14P 미리보기
설비공학 분야별 최근 연구 동향:2024년 설비공학논문집 발표논문에 대한 종합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설비공학회
    · 수록지 정보 : 설비공학 논문집 / 37권 / 6호 / 300 ~ 313페이지
    · 저자명 : 안준, 김동선, 김수민, 김현정, 남유진, 백영진, 이광호, 정재원, 조진균, 조홍현

    초록

    2024년 설비공학 논문집에 발표된 논문을 건축기계설비, 건축환경, 냉동, 열전달 및 열유체 4개의 분야로 분류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축기계설비 및 건축환경 분야에서는 총 21편의 논문이 발표되어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하였으며, 기계설비법 시행 관련 제도 및 시스템 제어, 에너지 성능 분석 등 실증 중심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2)건축환경 분야에서는 총 21편의 논문이 발표되어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으며, 실내환경, 건물에너지, 기타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에너지 성능과 경제성을 고려한 그린리모델링 기술 선정, 스택 효과 및 자연 환기 성능 평가, 연기 및 피난 시뮬레이션, 인공지능 기반 예측 모델 등 다양한 주제가 다루어졌다.
    (3)냉동 분야에서는 총 8편의 논문이 발표되어 최근 3년간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며, 가변속 냉동시스템의 제어 최적화와 부품 성능 향상,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설계 및 에너지 절감 효과 분석 등 실용성과 효율성에 중점을 둔 연구들이 발표되었다.
    (4)열전달/열유체 분야에서는 총 10편의 논문이 발표되어 소폭 감소세를 보였으며, 친환경 냉매를 활용한 상변화 및 응축 관련 열전달 특성 분석이 증가한 반면 다양한 응용 주제는 줄어들고, 실험 기반의 정량적 열전달 해석이 중심이 되는 경향을 보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offer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latest research findings in the realm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on, sanitation, and building and plant indoor environments through a thorough examination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over the course of 2024. Below is a summary of papers reviewed. (1) A total of 21 papers were published in 2024 on building mechanical systems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marking a slight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Research was largely centered on empirical studies, including system control, regulatory improvements following the enforcement of the Mechanical Equipment Act, and energy performance analysis. (2) Similarly, 21 papers were published in the building environment field, maintaining a level comparable to that of the previous year. Topics were categorized into indoor environment, building energy, and others, covering areas such as green remodeling technology selection, natural ventilation and stack effect analysis, and evacuation simulations. (3) In the refrigeration sector, the number of publications remained steady over the past three years, with eight papers released in 2024. The focus was on practical and efficiency-oriented research, including control optimization for variable-speed systems, performance improvement of key components, and energy-saving analyses of heat pump systems applicable in industrial settings. (4) Heat transfer and fluid flow research saw ten publications in 2024, reflecting a slight decline. While studies related to phase change and condensation using eco-friendly refrigerants became more prominent, application-oriented topics showed a noticeable decrease, with greater emphasis placed on experimental and quantitative investigations of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