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상순 시의 ‘소외’ 양상 연구 - 초기 시집에 나타난 ‘반복’을 통해 - (A Study on ‘Alieanation’ in the Poetry of Park Sangsoon - Representation of Alienation through ‘Repetition’ in Early Work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2.03
31P 미리보기
박상순 시의 ‘소외’ 양상 연구 - 초기 시집에 나타난 ‘반복’을 통해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80호 / 31 ~ 61페이지
    · 저자명 : 김선우

    초록

    박상순의 시는 기호와 이미지의 차원에서 난해성, 모호성 등의 규명을 위한 일관된 논의로서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그의 시를 자세히 살피면, 소외를 통해 시 세계를 현시하고 있다. 소외는 자크 라캉의 주요한 개념인데, 이는 자아와 주체 형성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결과이다. 박상순은 대략 10년마다 시집 1~2권을 출간하며, 시기마다 소외를 다르게 표시하고 있다. 본 논문은 그의 초기 시집에 나타난 소외 양상을 통해, 시 시계를 조망할 예비적, 계기적 고찰을 하고자 한다. 특히, 그의 초기 시집 『6은 나무 7은 돌고래』, 『마라나, 포르노 만화의 여주인공』에는 1차 소외 전후의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는 이를 드러내는 방법으로 반복을 활용한다. 반복은 상징계와의 거리 두기와 상상계로의 회귀를 나타내는 특징적 언술 양상이다. 단어 및 문장, 문형, 기호의 반복을 통해 소외의 당위성과 개연성을 획득하고, 나아가 반복을 문체적 자질로써 획득한다. 요컨대, 분리하는 육체와 자기 분실의 양상, 거울 단계와 소외하는 ‘나’의 양상, 해체하는 텍스트와 와해하는 말의 양상은 반복을 통해 나타난 주요한 시적 징후를 드러내고 있다. 이와 같은 고찰은 박상순 시에 짙게 스민 초현실풍의 시 쓰기와도 관계하므로, 논의할 가치가 있다.

    영어초록

    Previous studies on Park Sangsoon invariably focused on shedding light on the abstruse and ambiguous symbols and images found in his poems. However, on a closer examination, his poetry ins manifested through alienation. Alienation is one of the key concepts of Jacque Lacan’s theory. To Lacan, alienation is an unavoidable result of the formation of the self and the subject. Park publishes one or two poem collections every decade, and his poems represent alienation in different ways in each period. This study provides a preliminary analysis on how alienation is represented in Park’s early poems, to lay a foundation for overviewing his poetry. Park Sangsoon’s early collections, such as 『Six is a Tree and Seven is a Dolphin』 and 『Marana, the Heroine of a Cartoon Porn』, show conspciuous signs of primary alienation. He uses repetition as a way to express alienation. In his poems, alienation is represented through repetition. Repetition is a discursive pattern that represents the distancing of oneself from the symbolic and the return to the imaginary. The legitimacy and likelihood of alienation is obtained through the repetition of words, sentences, sentence structures, and signs, through which repetition becomes a stylistic quality. Separating bodies and self-loss, the mirror stage and alienating ‘self,’ and deconstructing texts and collapsing words represent poetic signs manifesting through repetition. These aspects warrant deeper academic treatment because they are also related to the surrealistic poem-writing that heavily permeate the poetry of Park Sangso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