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승려 문집의 『장자(莊子)』 수용과 활용 - 『침굉집(枕肱集)』을 중심으로 (Application of Chuang - tzu (『莊子』) in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written by Buddhist monks during the Joseon Dynasty Era - Focusing on Chimgoengjip (『枕肱集』))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6.09
28P 미리보기
조선시대 승려 문집의 『장자(莊子)』 수용과 활용 - 『침굉집(枕肱集)』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48권 / 179 ~ 206페이지
    · 저자명 : 이대형

    초록

    불교에서 『장자』를 대하는 태도는 대체로 우호적이다. 불가의 필독서로 꼽히는 『치문경훈(緇門警訓)』에 『장자』에서 유래한 표현들이 보이고, 사상면에서 『장자』에 대해 부분적이거나 그렇지 않은 차이는 있지만 긍정한다는 점에서는 다를 바 없다. 조선시대 승려 문집에서 『장자』를 대하는 태도 역시 대체로 긍정적이다. 청허휴정처럼 비판한 경우도 있으나 그 이후로는 대개 불교와 같은 진리로 여기는 입장을 보인다. 그래서 조선후기 승려 가운데는 『장자』의 표현을 법호로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발견된다. 『장자』 가운데서도 특히 붕새이야기가 기재된 「소요유」와 호접몽이 기재된 「제물론」이 핵심사상으로 자주 언급되곤 하였다. 『장자』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현상은, 조선시대 불가에서 자기만의 특색을 강조하기보다는 삼교회통의 관점이 주도적이었다는 점과 관련된다. 이는 성리학이 강력하게 작용하는 조선사회라는 틀에서 불교가 생존하기 위한 방안일 수 있다.
    『장자』의 사상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므로 글쓰기에서 그 표현을 활용하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불가 문집 가운데 『침굉집』은 특히 빈번하면서도 다채로운 방식으로 『장자』를 활용하였다. 『침굉집』에는 『장자』의 문맥을 그대로 가져오는 경우도 있지만 그것을 해체하여 자신의 문맥에 맞게 재조합하는 경우가 여러 차례 발견된다. 기존 번역서를 검토한 결과 『장자』 문맥과 다르게 활용한 표현들에 대해서 그 차이를 유념하지 않고 『장자』 문맥대로 번역한 경우들이 보인다. 사실 『장자』만이 아니라 다른 문헌들에 대해서도 원래 표현과는 다른 방식으로 활용한 경우가 발견되는데 이는 침굉의 문장력을 보여주는 측면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Buddhists have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Chuang-tzu (『莊子』). Chimunkyunghun (『緇門警訓』), one of the must-reads for Buddhists, is a good example. It has used similar expressions and ideas from Chuang-tzu. This friendly attitude tended to be stronger in the Joseon Dynasty.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written by Buddhist monks still keep this friendly attitude, with the exception of Cheongheo Hyujeong (淸虛 休靜), who expressed criticism of Chuang-tzu. In the later Joseon Dynasty, some Buddhist monks used words from the Chuang-tzu for their own Dharma name as well. For example, there are Buhyu Seonsu (浮休 善修), Soyo Taeneung (逍遙 太能), Heobaek Myoungjo (虛白 明照), etc. I think this positive attitude towards Chuang-tzu suggests that Buddhists have treated Taoism and Confucianism as similar kinds of truth. Two especially well-known stories from Chuang-tzu, a story of a roc and a story of a butterfly dream, were frequently mentioned. The intermixture of those three religions could be the means for Buddhism to survive through the Joseon Dynasty, when Confucianism dominated the nation.
    Since Buddhists accepted the ideas of Chuang-tzu, they have used the expressions in Chuang-tzu in various ways. Chimgoengjip is outstanding in this manner and displayed creative variations. Chimgoeng Hyeonbyeon (枕肱 懸辯), the writer of Chimgoengjip, frequently quoted Chuang-tzu and changed words, putting them in another way in his context. Later, translators sometimes misinterpreted such cases. They miss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meaning in Chuang-tzu and the transformed meaning in Chimgoengjip. In fact, Chimgoeng utilized many expressions not only from Chuang-tzu but also from other literature such as The Book of Odes etc., which proved his remarkable writing ski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