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학생의 협동학습 팀빌딩 프로그램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ion in the Cooperative Learning Teambuilding Program)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8.02
34P 미리보기
초등학생의 협동학습 팀빌딩 프로그램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문제연구 / 31권 / 1호 / 87 ~ 120페이지
    · 저자명 : 김대권, 박인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실 안에 협동학습의 팀빌딩 프로그램을 적용하면서의 학생과 교사들에게 의미 있는 교육적 시사점을 알아보기 위한 질적 사례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의 한 초등학교 4학년 28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협동학습에서 팀빌딩 프로그램이 가지는 효과성, 협동학습 내에서 팀빌딩 프로그램의 개념 정립, 그리고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여러 교육적 쟁점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학습자들은 협동학습을 일방적인 전달 위주의 전통학습보다 훨씬 더 선호하고 있지만 학급 규칙을 지키지 않는 동료학생, 사회적 기술 능력이 부족한 동료학생, 그리고 협동적 활동을 할 의지가 없는 동료학생으로 인한 불편함 때문에 협동학습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생기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팀빌딩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도와 만족도가 높았고 특히, 모둠원 간의 공통점을 발견하면서 함께 했던 활동들이 영향을 주었으며, 협동학습 중 규칙을 지키지 않아서 어려웠던 모둠원에게 사회적 기술 연습과 갈등 극복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었다. 팀빌딩 프로그램은 협동하려는 의지와 모둠원들에 대한 마음의 변화를 주는 유용한 프로그램이며, 팀빌딩이 제대로 이뤄진다면 협동학습 수업 진행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얻게 될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following is a qualitative case study which aimed to find meaningful educational insights for students and teachers as they apply the cooperative learning teambuilding program in the context of a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In order to achieve this, a study was carried out on 28 4th year students at a private elementary school (in Seoul), where various educational issu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ooperative learning teambuilding program, the establishment of teambuilding concepts in the context of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program’s application.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ch preferred cooperative learning to the traditional methods of one-sided delivery-centered learning, due to problems caused by some fellow students not abiding by the learning rules, lacking in social abilities, and having no desire to cooperate in activities, negative issues related to cooperative learning were revealed. In terms of excitement and satisfaction levels, the cooperative learning teambuilding program scored highly. All participants discovered shared perspectives whilst being influenced by cooperative activities, and all participants who struggled due to a failure to abide by the cooperative learning rules found the social skills practice and conflict resolution programs to be effective. Additionally, as learners encountered the above programs, they became more willing to be cooperative, showed improvement in their social skills, and also improve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all other participants. The teambuilding program was useful for providing a change in perspective for all participants as it strove towards cooperation, and if properly implemented, it is likely that teambuilding could positively affect cooperative learning clas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문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