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교폭력의 방어자 역할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defenders’ experiences in peer victimizat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5.12
32P 미리보기
학교폭력의 방어자 역할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12권 / 3호 / 317 ~ 348페이지
    · 저자명 : 손강숙, 이규미

    초록

    본 연구는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Hill, 2011; Hill, Knox, Thompson, Williams, Hess & Ladany, 2005)을 사용하여 학교폭력 참여자 중 방어자들을 대상으로 방어자 역할 경험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학교교사와 또래에 의하여 지명된 10명의 중학교 남학생이었다. 그 결과, 방어자의 경험에 대하여 5개의 영역과 1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어자는 가해자의 괴롭힘 행동이 심하다고 판단되어 순간적으로 뛰어들어 말리게 되었다. 주변 학생들은 주로 방관자 역할을 하였으며 여러 명의 강화자와 드물게는 방어자 역할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어자는 도움행동 이전에는 친구들에게 닥칠 결과가 걱정되고 폭력행동은 부당하다는 생각을 했으며 피해자가 불쌍하고 보복이 두려웠지만, 도움행동 이후 자신의 행동에 대해 뿌듯함을 느꼈고 더 이상 피해자가 당하지 않는 것을 보고 안도감을 느꼈다. 둘째, 방어자의 도움행동이 방어자 자신에게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방어자는 도움행동 이후 내적으로는 도움행동이 옳은 일이라는 신념과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고 스스로 성장함을 느끼게 되었다. 방어자는 외적으로는 주변 친구들로부터 인정받아 관계가 더 좋아졌으며 가해자와는 멀어졌고 피해자와는 예전과 같이 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어자의 개입 이후 가해자는 더 이상 심한 폭력행동을 하지 않았으며 피해자도 급우들과 잘 어울리게 되었다. 본 연구는 방어자의 인지적, 정서적 과정을 중심으로 방어자가 도움행동의 과정에서 느낀 심리적 경험을 탐색하고, 방어자의 행동이 다른 참여자들과 자신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전체 학교폭력 사건 참여자의 행동변화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넓혔다. 또한 학교폭력 개입에 방어자 역할에 초점이 맞춰진 정보를 제공하고, 학교폭력 예방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이타적 도움행동과 관련된 지침을 제안한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fenders’ experiences targeting defenders among school violence participants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analysis method (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Hill, 2011; Hill, Knox, Thompson, Williams, Hess & Ladany, 2005). The subjects of study were 10 middle school boys nominated by school teachers and peers. As a result, defenders’ experiences were finally derived 5 domains and 11 categories about defenders’ experiences at the time of action, and the impact of defenders’ help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before helping behavior defenders judged that bullying behaviors of perpetrators were too much and then immediately decided to help victims. Bystanders mainly played roles of outsiders, and several of them were reinforcers and rare defenders. Before helping behavior, defenders were afraid and scared of revenge, concerning future problems of friends and thinking that violence was unjust and feeling sorry for the victims. Second, defenders’ helping behaviors brought about major changes to defenders. Helping behaviors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growing of defenders through feeling proud and strong beliefs that helping behaviors are the right t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fenders and perpetrators got wors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fenders and victims was unchanged. After intervention of defenders, perpetrators tried not to hurt victims anymore, and victims got along with classmates. After intervention of defenders, perpetrators stopped bullying and more peers defended victims. This study extended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changing process of all participants’ behaviors, by investigating defenders’ psychological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helping behaviors focusing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 of defenders, by addressing how defenders’ helping behaviors impact with all participants doing. Also, it is important that this study provided information focused on defenders’ roles for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and proposed guidance related to altruistic helping behaviors about a desirable direction for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심리학회지:학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