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사학습공동체의 속성에 관한 질적 메타 분석 (The Qualitative Meta Analysis of Attributes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5.12
25P 미리보기
교사학습공동체의 속성에 관한 질적 메타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학연구 / 53권 / 4호 / 77 ~ 101페이지
    · 저자명 : 이승호, 이지혜, 허소윤, 박세준, 한송이, 한은정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사학습공동체의 속성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확인하고 그 특징을 도출하기 위하여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학습공동체의 속성으로는 자발적 활동 의지, 수평적 상호작용, 수업사례 및 아이디어 공유, 공유를 통한 반성, 공동수업 설계, 협력, 전문가의 도움, 지속적 연구, 생산결과의 활용, 지원적 환경이 추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학습공동체의 속성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논의하였다. 첫째로 교사학습공동체의 핵심 속성은 협력인데, 협력은 방향, 양상, 깊이로 나누어 논의될 수 있다. 또한 협력은 전문가의 조언, 생산적 활동, 지원적 환경 등과 같은 속성과 영향을 주고 받는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의 속성은 순환관계를 갖는다. 이는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들의 협력 과정을 보여준다. 셋째, 맥락에 따라 교사학습공동체의 속성은 다른 양상을 갖는다. 학교 밖의 학습공동체는 참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일상의 수업과 학급운영에 대해서 관찰하는 것이 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각 학교의 상황을 충분히 공유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학교 안의 학습공동체는 위의 단점은 없으나 업무 처리, 수업준비, 학생 상담 등 교사들의 업무가 너무 많아 모이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ducted the qualitative meta-analysis of the researches which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to identify and discover how the attribute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s being presented.
    As the result,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presents ‘spontaneity’, ‘horizontal interaction’, ‘sharing a lesson or ideas’, ‘reflection through sharing’, ‘collaborative design of teaching’, ‘cooperation’, ‘expert's advice’, ‘sustainable research’, ‘making use of results’, and ‘the supportive environment’ as its attribut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issues related to the attribute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ere discussed. First, the core attribute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s ‘cooperation’, which can be discussed in a sense of ‘directions’, ‘aspects’ and ‘depths’. Also, ‘cooperation’ and the attributes like ‘expert's advice’, ‘productive activity’, and ‘supportive environment’ have effects on each other. Second, the attribute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have a circular relationship. It shows the teachers' cooperation process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ird, the attribute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have the different aspect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The out of the school teachers learning community can be easily formed and managed, but it might be difficult to share the unique situation of the schools among the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school teachers learning community does not have the disadvantages mentioned above. However, the participants might not have the opportunity to share their experiences since they still have to do all their duties such as the administrative tasks, the class preparations and the students consul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