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표면행동, 감정소진, 이직의도 간의 관계: 리더-부하 교환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 (Surface Acting, Emotional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Leader-Member Exchang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6.07
22P 미리보기
표면행동, 감정소진, 이직의도 간의 관계: 리더-부하 교환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경영학회지 / 29권 / 7호 / 1129 ~ 1150페이지
    · 저자명 : 장재규, 김학수

    초록

    우리나라 경제 시스템은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고, 병원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서비스업이라고 볼 수 있다. 무한경쟁시대를 맞이하여 많은 병원들은 민간기업의 경영전략 및 경영시스템을 도입하고 있고 고객감동 등으로 병원 경쟁력 강화 및 서비스 경제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에 병원들은 대고객 접점 서비스의 최일선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고객 서비스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간호사들을 상품화된 노동력의 일부로 보고, 고객에게 감정관리 활동을 펼치도록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간호사들을 병원구성원들 중에 가장 대표적인 감정노동자로 보고, 그들이 선택한 부정적 감정노동 수행전략인 표면행동의 효과와 더불어, 표면행동의 부정적 효과를 완화시켜줄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표면행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감정소진이라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감정소진을 경감시켜줄 수 있는 방안으로 리더-부하 교환관계의 효과를 파악하는 연구이다. 기존 연구들은 표면행동의 부정적 효과를 인식하고 있었으나, 이를 완화시켜줄 수 있는 경영관리기법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감정노동 수행전략의 선택은 개인의 특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감정부조화 이론 및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토대로, 감정소진의 매개역할과 리더-부하 교환관계의 조절역할을 통합하여 표면행동, 감정소진,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리더-부하 교환관계의 조절된 매개역할의 가능성을 탐색적으로 규명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는 475명의 간호사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표면행동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감정소진의 매개역할 및 리더-부하 교환관계의 조절된 매개역할을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표면행동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감정소진은 완전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부하 교환관계가 높을수록, 표면행동과 감정소진의 정적인 효과는 다소나마 약화되고, 감정소진을 통한 표면행동의 이직의도에 대한 정적인 간접효과가 다소나마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높은 수준의 리더-부하 교환관계가 감정노동자의 어려움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경영관리 방안임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의 한계로서 횡단적 연구, 감정노동 수행전략 중에 표면행동 만을 규명하였다는 점 등을 제시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향후 연구방향 등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In recent service industry, emotional labor has been a part of work and increased continuously. With growing interest in emotional labor recently, service industries have adopted a variety of administrative mechanisms to encourage their frontline employees to display emotions required by the service industry. In this study, emotional labor strategies are classified into deep acting, surface acting. When engaging in deep acting, frontline employees attempts to modify feelings to match the required displays. The intent is to seem authentic to the customer, and deep acting has been called faking in good faith. In contrast, in surface acting, the alternative strategy, frontline employees modify their displays without shaping inner feelings, and surface acting has been called faking in bad faith.
    Up until now, previous studies dealt with effect of deep acting and surface acting as emotional labor strategies, frontline employees had to change their emotional labor strategies form surface acting which was effect on negative outcome to deep acting which was positively affected on desired outcome. For example, previous research shows that deep acting relates to positive outcomes such a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contrast, surface acting relates to negative outcomes such as turnover intention, job dissatisfaction and so on.
    But, the choice emotional labor strategies was closely associated with personality, affectivity, traits and so on, to comply with the service rules, it was hard for frontline employees to change their emotional labor strategies from surface acting to deep acting. This study assumes that emotional exhaustion can been important process factor given that surface acting propels emotional exhaustion, and that emotional exhaustion is a decisive factor in increasing turnover intention of frontline employees. To manage surface acting, leader-member exchange which emphasizes psychological resources between leader and employee will be effective emotional labor management. And, by integrating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this study propose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for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surface acting on turnover inten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exhaustion, the moderated mediation role of leader-member exchange. To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of 560 hospital nurses in major hospitals, and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475 hospital nurses, except unreliable response. As a resususof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mediating effects, it was found that emotional exhaustion exha fu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acting and turnover intention. Also, it was found the negative moderating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acting and emotional exhaustion. Additionally, the indirect effect of surface acting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emotional exhaustion was weaker when leader-member exchange.
    Leader-member exchange, on which the present study focussed, may be worthy of attention from a theoretical and practical standpoint in order to manage surface acting.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ts academic significance,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tas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