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인성과급 격차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효과 : 팀-구성원 교환관계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Individual Pay Dispersion on Job Burnout : The Mediating Effects of Team-member Exchang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9.07
24P 미리보기
개인성과급 격차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효과 : 팀-구성원 교환관계의 매개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경영학회지 / 32권 / 7호 / 1247 ~ 1270페이지
    · 저자명 : 성수현, 양혁승

    초록

    개인과 조직의 성과를 높이려는 목적에서 많은 국내 기업들이 개인성과에 따라 임금을 차등적으로 지급하는개인성과급 제도를 널리 활용해왔다. 그 동안 개인성과급 제도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개인의 동기 제고와개인의 업무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초점을 맞춰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몇몇 연구자들은 개인성과급 제도가구성원들 사이의 협력을 저하시키거나(Johnson et al., 2006; Pearsall, Christian, & Ellis, 2010; Pfeffer & Langton, 1993), 직무소진과 같은 부정적 효과를 유발할 가능성에 대해 언급해왔다(Larkin, Pierce, & Gino, 2012; Shirom, Westman & Melamed, 1999). 개인성과급 제도가 조직구성원들로 하여금 직무소진을 경험하게한다면, 개인성과급 제도가 단기적으로는 동기 제고를 통한 개인성과나 조직성과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개인과 조직의 성과에 부정적인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개인성과급 제도가 직무소진과 같은 직장생활의 질에 미치는 역효과를 규명하는 추가 실증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Ganster, Kiersch, Marsh, & Bowen, 2011).
    본 연구는 개인성과급 제도의 강도를 나타내는 급여 격차가 직무소진의 하위차원인 ‘고갈’과 ‘일로부터의심리적 이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개인성과급 격차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를 검증하였고, 한 걸음 더 나아가 Demerouti, Bakker, Nachreiner, and Schaufeli(2001)의 직무요구-직무자원 모델(job demand-resource model)을 토대로 중요한 직무자원이라 할 수 있는 팀-구성원 교환관계가 개인성과급 격차와고갈 및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성과급 격차가 직무소진의 하위개념인 ‘고갈’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과는 팀-구성원 교환관계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직무요구가 높은 경우 지속해서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에너지가 소모되어 고갈을 발생시키는 반면(e.g. Demerouti et al., 2001, Lee & Ashforth 1996), 직무자원이 부족한 경우에는 효과적인 목표 달성이 어려워지고이로 인해 실패나 좌절감을 경험함으로써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이 발생하기 때문이라(Bakker, Vardakou, & Kantas, 2003) 추론해 볼 수 있다. 결론에서는 연구결과의 해석과 의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 등을논의하였다.

    영어초록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ny domestic companies have widely used individual incentive schemes that differentiate individuals' pay according to their performance. However, some researchers have mentioned the possibility that individual incentive schemes may cause adverse effects such as job burnout (Larkin, Pierce, & Gino, 2012; Shirom, Westman, & Melamed, 1999). Although individual incentive schemes can contribute to improving individual-level performance 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employees' motivation in the short term, if they cause employees to experience job burnout, they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individual-leve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r this reason, additional research to identify the adverse effects of individual incentive systems on the quality of employees' work life such as job burnout has been called for (Ganster, Kiersch, Marsh, & Bowen, 2011). However, the effects of individual incentive schemes on job burnout have rarely been investiga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dividual pay dispersion, which represents the intensity of an individual incentive system, on two sub-dimensions of job burnout, that is, exhaustion and disengagement from work, respectively.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individual pay dispersion on exhaustion and disengagement from work. As for the indirect effects, a team-member exchange relationship, which is an important job resource, is propos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pay dispersion and job burnout, following the job demand-resource model of Demerouti, Bakker, Nachreiner, and Schaufeli (2001). Following two hypotheses were tested: Hypothesis 1: Individual pay dispersion is positively related to job burnout.
    Hypothesis 2: Team-member exchang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pay dispersion and job burnout. Specifically, individual pay dispersion is negatively related to job burnout through team-member exchange relationship, which is regarded as an important job resource.
    For the empirical test, we surveyed the employees who worked in various occupations.
    Finally, 219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dividual pay dispersion directly affected the exhaustion, which is a sub-dimension of job burnout.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indirect-only mediation effects through team-member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pay dispersion and disengagement from work, which is another sub-dimension of job burnout. In conclusion,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