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퇴직한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생애사 연구: “김 실장 이야기” (A Study on the Life History of Retired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ial: “A Story of Administration manager Kim”)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2.11
26P 미리보기
퇴직한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생애사 연구: “김 실장 이야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2권 / 22호 / 247 ~ 272페이지
    · 저자명 : 이미희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교라는 조직에서 수십 년을 근무하다가 퇴직한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개인적이고 직업적인 삶의 과정은 어떠했는지, 그런 삶의 과정들은 퇴직 후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와 더불어 퇴직 이후의 삶을 어떻게 준비하여 살아가고 있는지에대해 이해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동반자로 교육행정직 공무원을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하며, 100세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삶에 대한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함의를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생애사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생애사 연구 방법은 한 개인의 삶의 과정에서의 내적 역동과 생애 변화를 과거, 현재, 미래라는 시간의 축 위에서 살펴봄으로써 시간의 연속성 안에서 이루어지는 삶의 전환과 적응과정을 이해하기에 좋은 연구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9년 6월 30일 자로 정년퇴직한 김 실장의 구술을 듣고, 그의 삶의 과정에서 이루어진 생애 경험을 사회문화적이고 역사적인 맥락과 연결시켜 특정한 경험과 사건, 그리고 적응에 대한 의미를 해석하였다.
    결과 김 실장은 평생을 그의 어머니와 아내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살았고, 개인적이고 직업적인 삶을 충실히 이행해 냈기에 그의삶에 후회는 없었으며, 예기치 못했던 사건으로 인해 비록 퇴직 훈장을 받지 못한 채 공직을 떠나왔지만, 연금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매우 감사해하고 있다. 김 실장은 선산(先山)으로 돌아가 나무를 키우며 한운야학(閑雲野鶴)처럼 유유자적하는 삶을 살고 싶어 하지만, 그에 대한 사전지식의 부족, 쇠잔해지는 몸, ‘코로나’라는 악재로 인해 그 꿈의 실행을 보류할 수밖에 없었고, 길어진 시간을 무료하지 않게 보낼 방편으로 노인 일자리를 구해 두 번째 삶을 살고 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퇴직 후의 삶이 만족한 삶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건강한 몸을 지녀야 하고, 본인이 요차불피(樂此不疲)할 수있는 일을 스스로 찾아야 하며, 조직에서는 퇴직예정자가 그 일을 찾을 수 있도록 퇴직 후의 갖가지 진로를 모아놓은 장(場)을 열어줄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life course of education administrative officials who retired after working for decades in an organization called school, how those life course affect life after retirement, and how they prepare for life after retirement. Through this,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ials as partners to achieve educational purposes, and to obtai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our lives living in the age of 100.
    Methods To this end, a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was used.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is a good research method to understand the life transition and adaptation course in the continuity of time by examining the internal dynamics and life changes in an individual's life course on the axis of time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 this study, we listened to Administration manager Kim's oral speech, who retired on June 30, 2019, and interpreted the meaning of specific experiences, events, and adaptations by connecting his life experiences in the course of life with socio-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Results Administration manager Kim has lived his whole life to keep his promises to his mother and wife, and since he faithfully fulfilled his personal and professional life, he has no regrets in his life, and is very grateful that he can receive a pension, although he has left office without receiving a retirement medal due to unexpected events. Kim wants to return to the “Mountain with Ancestors' Tomb” and grow trees and live a free life like “Wandering Clouds and Wild Cranes,” but his lack of prior knowledge, declining body, and bad news of “COVID-19” forced him to put his dream on hold. He is living his second life by finding a job for the elderly as a way to spend a long time without being bored.
    Conclusions In order for a life after retirement to be satisfactory life, you must first have a healthy body, find yourself a work that will not tire you out no matter how hard you work, and the organization needs to open up a yard that collects various careers after retirement so that those who are scheduled to retire can find the 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