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원경제지』의 나물과 21세기 민족식물학 - 「관휴지(灌畦志)」와 「인제지(仁濟志)」를 중심으로 - (Namul Taxonomy in 19th Century for the Korean Ethnobotany in 21st Centur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5.06
26P 미리보기
『임원경제지』의 나물과 21세기 민족식물학 - 「관휴지(灌畦志)」와 「인제지(仁濟志)」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36호 / 59 ~ 84페이지
    · 저자명 : 김재희

    초록

    나물 관련한 지식은 그것을 캐고 말려 음식으로 만드는 가난한 여성들 사이에서 구전으로 전해질 뿐 조선시대 유교사회의 지식인 남성이 관심을 기울일 사안이 아니었으나 이용후생(利用厚生)을 추구한 조선의 몇몇 선비는 제법 현장이 담긴 기록을 남겨두었다. 그중에서 『임원경제지』는 19세기 조선의 나물 활용을 가늠케 할 정보가 풍부하다. 상당한 내용이 중국 문헌을 상고하고 요약한 것이나, 꼼꼼히 살펴보면 식물의 분류과정에 조선적인 변용과 보완이 드러난다. 특기할 점은 19세기 유럽의 식물 연구자들이 식용식물과 약용식물에 대한 관심으로 자연의 현장을 누볐던 반면, 같은 시기 조선의 선비 서유구는 식물 관련한 방대한 정보가 담긴 동아시아 류서들에서 특징을 찾아 정리하며 자국 식물의 활용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모색했다는 사실이다.
    오늘날 유럽의 민족식물학은 분류법을 창안한 18세기 린네에서 출발하여 유라시아 대륙의 식용식물을 연구했던 20세기 초반 모리치오(Adam Mauritio)의 작업을 근간으로 21세기의 새로운 전망을 추구하고 있다. 현대 인류가 당면한 생태적 재난의 대비 및 첨단 생명공학의 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나물은 관심을 끌게 되었고, 특히 국가 차원의 생명다양성과 지적 재산권의 확보라는 면에서 국제적 분쟁을 대비하는 연구 소재로 가치를 갖게 되었다. 이렇듯 새로운 주목을 받게 된 나물 연구는 이전의 구황식물 채취라는 단기적이고 임시적인 활동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음식인류학에서 말하는 ‘모든 음식은 애초 구황식이었다.’는 인류의 식생활사 흐름의 여러 단면을 살피는 단서로도 훌륭하다.
    본 연구는 서유구의 역작인 『임원경제지』에서 식용식물들의 재배와 수확에 초점을 맞춘 「관휴지(灌畦志)」의 128종 나물들과 구황에 요긴한 야생식물을 열거한 「인제지(仁濟志)」의 부록에 실린 240여 종의 나물들을 대상으로 민족식물학Ethnobotany의 방법을 적용해 당시 풍석의 나물 이해를 고찰했다. 한국 고유의 ‘미감(味感)’을 찾는 ‘나물론 성립에 필요한 목록(inventory)’을 추출하여 민족식물학의 한국적 모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할 수 있었다. 조선의 밥상에 오르는 식재료 중 중국의 문헌에는 등장하지 않는 조선 고유의 나물을 별도의 범주로 설정하여 예컨대 두릅과 취나물, 머위 등을 가장 한국적인 나물로 꼽은 풍석의 작업은 조금 더 시선을 확장하면 수렵과 채집시대 전통에서 이어진 오랜 지혜의 일부이기도 하다. 이는 1992년 리우환경회의 이후의 후속 작업 중에서 각별한 성과인 2010년 나고야 의정서의 ‘원주민의 생존과 지식’에 상응하는 가치를 부여한 생물다양성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한반도의 ‘오래된 미래’를 다양한 대안적 관점에서 살필 수 있는 소중한 유산이다. 21세기 민족식물학의 관점에서 19세기 조선의 시공간을 밝혀주는 귀중한 자료로서, 오늘날 인류의 ‘오래된 미래’에 대한 구체적 방도를 모색할 수 있는 길잡이로도 손색이 없다.

    영어초록

    The passing-down of traditional knowledge regarding namuls49) belonged to the local people like illiterate women and poor people. But there are some good reference books on them compiled by Silhak (實學) scholars, who were educated in confucian idealism but longing for practical knowledge in order to better support people’s lives. This paper focuses on how Korean namuls were recognized, systemized and categorized by Seo, Yougu (徐有榘, 1764~1845), one of the most productive Silhak writers and the author of Imwon Gyeongjeji (Economy of Farm Life 임원경제지)50) consisting of 113 volumes and 16 subtitles, which was often called the most representative Korean Encyclopedia in early 19th century.
    Especially two subtitles of the Book, Gwanhyuji (Cultivating and Gathering Vegetables 관휴지) and Injeji (Curing and Medicinal Ways 인제지) include respectively precious materials for edible plants and famine foods from old Chinese, Japanese and Korean literatures. In Seo’s work, those edible and medicinal plants were not sorted under the phylum ‘namul’, for the grouping of ‘namul’ was part of folk culture. His fieldwork was carried out not in nature but in hundreds of old literatures, since he was educated as a strict philologian, not as a folklorist. In both subtitles Gwanhyuji and Injeji, over 240 species of namul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way of cultivating, gathering, their habitats, edible parts of plants like buds, sprouts, young leaves, stems, roots, flowers and fruits etc.
    Comparing the Seo's inventory of Korean namuls with Chinese ones, taxonomy of ‘namuls’ were set up as a new phylum based on traditional folk knowledge, and in the process, some namuls like Dureup (두릅), Cheenamul (취나물) and Mowee (머위) were found to be exclusively registered in Korean books, i.e. they were indigenous Korean namuls. In that sense the tracing and newly defining of categorizing work on namuls by Seo can bring a significant insight to Ethnobotany, developed as an interdisciplinary subject relatively recently in Europe, and not widely known in Korea yet. It is noticeable that the inventory of Korean namuls for famine relief from Injeji is filled with insights not only for overcoming hard hungry times, but more significantly of the long history of human food from hunter-gatherer ancestors, as food anthropologists mentioned, that every food was originally famine food.
    Since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in 1992, the UN has proposed an international agreement to share the benefits arising from the utilization of biological resources in a fair and equitable way in order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of our age, especially climate change and the danger of increasing famine. It was adopted by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t its 10th meeting in Nagoya 2010, and on the domestic level many governments have begun to set up a foundation for digital preserv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on indigenous species and regarding the use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Now seems to be the proper time that the Korean namul culture and history has to be researched and made known with the interdisciplinary methodology and comparative study of the 21st century on behalf of Gwanhyuji and Injeji, a really precious material for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on namuls. This, to respond with the wider Eurasian perspective, to the attempt of Adam Maurizio when he wrote the History of our food plants in 1927.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