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도시연구를 위한 地理志의 기초연구 - 『東國輿地志』․『輿地圖書』․『輿圖備志』․『大東地志』를 중심으로 - (Review of Geography Books for Joseon Dynasty Urban Research - Focused on Donggukyeojiji, Yeojidoseo, Yeodobiji and Daedongjiji -)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2.10
14P 미리보기
조선시대 도시연구를 위한 地理志의 기초연구 - 『東國輿地志』․『輿地圖書』․『輿圖備志』․『大東地志』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21권 / 5호 / 33 ~ 46페이지
    · 저자명 : 강서연, 윤인석

    초록

    본 연구는 조선시대 지리지를 ‘도시에 대한 기록’으로 재해석하여 도시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조선시대 지리지는 국가의 정책 자료로서, 그 내용의 핵심이 ‘제도’에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군사제도는 조선시대 도시유형, 도시간의 관계성, 입지선정 등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이다. 지리지를 통해 검토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사제도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역사를 수반한 ‘도시정책’의 변화를 의미한다. 군사제도는 국토의 개발과 운영상을 제시하여, 도시의 발전과 공간변화에 의미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둘째 수령이 관할하던 군현에는 영아․진보․역(행정도시) 등 치소와 대등하거나 그 이상의 중요성을 지니는 도시가 공존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특수지역은 건축적인 특성과 도시의 역할 규명을 통하여, 조선시대 도시의 또 다른 유형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셋째 읍치․영아․진보 등 도시간의 관계성은 지방군사조직(진관)을 중심으로 재편성된 것이다. 행정도시인 읍치는 영아․진보와 함께 조직화되면서 군사도시로 거듭나게 된다. 아울러 역은 이러한 군사 도시간의 관계 속에서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넷째 군현 중심으로 서술된 지리지를 살펴본 결과, 도시연구를 위한 문헌연구는 건축과 경관의 측면에서 검토될 수 있다. 이것은 읍치뿐만 아니라 영아․진보․역 등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연구가 될 것이다.
    다섯째 지역-구역 등 전체흐름 속에서 파악된 자연환경은 도시의 입지와 경관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여지를 지닌다. 지역에서 중요하게 파악된 산줄기 중에서 ‘烽燧’는 지형의 특성을 매개로 한 입지분석의 대상이 될 수 있고, ‘形勝’은 지역의 주요 맥락을 짚어주는 역사․지리적인 요소를 함축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on reinterpreting the geography books in Joseon dynasty as records of the cities and consequently suggesting directions for further urban research. Geography books of Joseon dynasty are valuable references to understand the national policy, and imply that the focus of the contents is on the system. Especially, military system is an important concept to understand city type in that period, relationships between cities, selection of location, etc. The results of review are as following:First, military system is not a permanent fixture and therefore reflects changes in urban policies along with the history. The system suggests valuable clues on urban development as it is state-run, and closely associated with national land development.
    Second, counties and prefectures under jurisdiction of district called Eupchi(邑治) had cities as important as or even more important than local government such as Yeong-a(營衙), Jinbo(鎭堡), Yeok(驛: administrative cities). Such special regions need to be studied as other type of cities in Joseon dynasty by defining their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roles.
    Third, the relationship of cities such as Eupch, Yeong-a, and Jinbo, was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local military system. Eupchi, administrative city, along with Yeong-a and Jinbo evolved into a military city as it became systematically organized. The characteristics of Yeok needs to be reconsidered in the context of such new inter-city relationship.
    Fourth, considerations which should be reviewed in the geography based on this concept can be mainly classified into architecture and landscape. This will also lay the foundation, and suggest new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for Eupchi, Yeong-a, Jinbo, and Yeok.
    Fifth, description of the geography looks simple at first sight, but with thorough understating on the system, there are chances to interpret objective reasoning of position and landscape in the overall flow of region, area, etc. Bongsu(烽燧), signal-fire, can be an object of comparison with geographical features and position. Furthermore, advantageous position is a historical and geographical element showing the major context of the re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건축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