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고령 가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재무건전성 (Social Interaction and Financial Stability of Middle and Old Aged Household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0.06
29P 미리보기
중고령 가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재무건전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정책교육연구 / 16권 / 2호 / 27 ~ 55페이지
    · 저자명 : 조혜진, 곽민주

    초록

    본 연구는 사회자본이론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중고령 가계의 사회적 상호작용 실태와 재무건전성 수준을 살펴보고, 사회적 상호작용이 가계의 재무건전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의 7차 자료 중 2,260가계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 가계의 경제적 상호작용에서 사적이전을 살펴본 결과 자녀, 부모, 기타 가족으로부터 지원을 받는 가계는 66.8%, 연평균 278.75만원이었으며, 지원을 하는 가계는 16.2%, 평균 894.96만원으로 나타나 지원을 하는 가계보다 지원을 받는 가계의 비율이 높았으나, 지원을 하는 가계의 평균 금액이 지원을 받는 가계의 평균 금액보다 많았다. 공적이전의 경우에는 공적이전을 수령하는 가계가 1,601명(70.8%)으로 나타나 상당수의 중고령 가계가 공적이전의 혜택을 받고 있었다. 세부적으로 공적연금을 수령하는 가계는 867명(38.4%)이고, 공공부조를 수령하는 가계는 1,158명(51.2%)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령 가계의 비경제적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자의 43.9%가 결혼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주 1회 이상 만나는 자녀수는 평균 1.35명이었다. 대부분의 중고령자들이 1개 정도의 사회활동을 하고 있었다. 셋째, 중고령 가계의 재무건전성을 살펴본 결과, 중고령 가계의 월평균 가계소득은 199.91만원, 월평균 소비지출은 143.15만원이었으며, 부족한 생활비를 해결하기 위해 55% 이상의 중고령자가 예․적금을 해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무비율지표를 통해 중고령 가계의 재무건전성을 살펴본 결과, 가계수지지표는 51.1% 정도가 준거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고, 부채 관련 지표들은 상당수의 가계가 준거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다. 총저축성향지표와 금융자산비중지표는 준거기준을 충족시키는 경우가 매우 적어서 중고령 가계가 저축과 유동성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다섯째, 사회적 상호작용이 재무건전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일부 변수가 재무건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가계수지지표와 저축성향지표 모두 사적으로 이전 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 충족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interaction and financial stability of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in South Korea and conducts a comprehensive contemplation on the influence of social interaction on the household’s financial stability on the basis of the social capital theory. For this purpose, the seven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in 2018 was analyzed and a total of 2,260 household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main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irst, the economic interaction of the middle- aged and elderly households was investigated focusing on the private transfer. Out of the total subjects, 66.8% received supports from their offspring, parents, or other family members with an average amount of 2.78 million KRW. Meanwhile, 16.2%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provided private transfer of an average amount of 8.94 million KRW. Although the households who receive private transfer occupied the majority share, the average amount of those who provide private transfer was larger than that of the recipient households. In case of the public transfer, 1,601 households (70.8%) received public transfer, implying that most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were receiving benefit from the public transfer. Specifically, 867 households (38.4%) received public pension and 1,158 households (51.2%) received public aid.
    Second, in an examination of the non-economic interaction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43.9% of the research subjects maintained marital status and the number of offspring that they meet at least once a week was 1.35. Most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ere involved in about one social activity.Third, the financial stability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was investigated using simple indicators, th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was 1.99 million KRW, and the average monthly consumption expenditure was 1.43 million KRW. It was found that over 55%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canceled savings in order to solve the lack of consumption expenditure Fourth, the financial stability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financial ratio index. In case of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index, approximately 51.1% of the households met the conformity standard. In case of debt-related indicators, majority of the households met the conformity standard. On the contrary, very few households met the conformity standard of the total propensity to save index and financial asset weight index. This implies that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have saving and liquidity- related problems.
    Fifth, as a result of the effect of the social interaction on financial stability, some variables appeared to be factors affecting financial stability and, the probability to meet the conformity standard of the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index and the total propensity to save index was higher when they do not receive private ai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정책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