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 마구 비교를 통한 삼국시대 고고학 편년 조율 (The Coordination of Chronology in Archaeology o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hrough the Comparison of Harnesses between Korea and Chin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1.12
26P 미리보기
한·중 마구 비교를 통한 삼국시대 고고학 편년 조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고광장 / 29권 / 29호 / 45 ~ 70페이지
    · 저자명 : 김일규

    초록

    삼국시대 동아시아 마구는 전체적인 변화 발전의 틀에서 많은 공통속성이 확인되어 표준연대자료의 확보에유효하다. 양진-16국시대의 마구를 검토하여 편년의 기준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삼국시대 마구와 비교하여 삼국시대 고고학 편년 조율을 시도하였다.
    동오·서진 마구에서 등자의 발명은 마구 역사에서 획을 긋는 사건이었으며, 등자와 고안교 안장의 조합은 1인기승의 보편화를 의미한다. 동진대에는 쌍등과 고안교 안장의 조합으로 개마중갑기병이 확산하는 틀이 마련되었고, 1인 기승 마장 체제를 확립하였다.
    16국 시기 삼연 마구는 전통적 속성, 중원적 속성 및 중원 마구가 삼연 문화 체제 내에서 변용된 속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중원을 원향으로 하는 중원적 속성과 변용적 속성이 대부분이다. 금동제 등자, 쌍봉문과 승문을시문한 행엽과 안장 장식 및 판비는 중원을 원향으로 하는 마구 속성이다. 삼연 마구의 경우 삼국시대 등자의 시원인 금속판으로 보강한 목심 등자를 비롯하여 지판과 장식판을 덧댄 구조의 판비와 행엽은 상한이 370년대로편년된다.
    중원지역에서 철제 개마중갑기병은 16국 시기에 본격화하였다. 마주의 비교에서 고구려와 가야는 각각 4세기 중엽과 4세기 말에 전연의 것을 받아들였지만, 고구려는 4세기 말에 중원의 것도 수용하여 고구려 독자의 양식을 완성하였다. 가야와 신라는 광개토왕 경자년 남정을 계기로 마갑과 마주 조합이 완비된 개마중갑기병 체제를 갖추었다.
    양진-16국시대 마구와 삼국시대 마구를 비교한 결과, 권운문와당의 간지 기년을 4세기 전반으로 한 고구려 고고학 편년, 가락동 2호분의 조영 시점을 3세기 후반으로 하는 백제 고고학 편년, 황남대총 남분을 내물왕 무덤으로 비정한 신라 고고학 편년을 당해 시기 한·중 마구에 적용하면 동아시아 고대 마구의 역사는 물론 세계 마구의역사도 다시 써야 한다. 그렇지만 권운문와당 간지 기년을 4세기 후반, 가락동 2호분을 4세기 말, 황남대총 남분을 눌지왕 무덤으로 하는 편년을 양진-16국시대 중국 마구 편년에 적용하면 괴리가 거의 없다.

    영어초록

    The harness, which was used in East Asia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has been confirmed to have many common attributes in terms of the overall framework of changes and developments, showing that it is valid for obtaining data on standard chronology. It has obtained reference data for chronology by reviewing the harnesses of East and West Jin Dynasty-16Guo Dynasty for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which led to an attempt to coordinate chronology in archaeology o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he invention of stirrups in the East Wu·West Jin harness was an epoch-making event in the harness history, and the combination of stirrups and high saddles means the generalization of single-person horse riding. The framework for the spread of the heavy cavalry was established by a combination of the double-stirrups and high saddles in East Jin, resulting in establishing the system of single-person horse riding.
    The attributes of SanYan harness of 16Guo Dynasty are divided into a traditional attribute, a Chinese Zhongyuan-based attribute, and a transformational attribute of the Chinese Zhongyuan harness transformed within the system of SanYan culture, but in most cases, the Chinese Zhongyuan-based attribute according to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and the transformational attribute apply. gilt-bronze stirrups, Harness pendants decorated with two phoenixes, etc., saddle ornaments, horse bits a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harness attributes in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In the case of the SanYan harness, all of the horse bits and harness pendants structuralized by plates and ornamental plates, including wooden stirrups reinforced by the metal place, the origin of stirrups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are known to be in the 370s as terminus post quem.
    In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heavy cavalry began in earnest in the 16Guo Dynasty. The comparison of horse helmets have shown that Goguryeo and Gaya accepted the ways of QianYan in the mid-4th century and late 4th century, respectively, but Goguryeo completed its own style by accepting those of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in the late 4th century. Gaya and Silla established a system of heavy cavalry with a complete combination of horse armors and helmets with Goguryeo’s southward conquest as a momentum.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harness of East and West Jin-Dynasty-16Guo Dynasty with that of the Three Kingdoms have suggested that applying chronology on the Goguryeo archaeology in which the GanJi (干支) script of cloud-pattern the roof-end tiles was from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chronology on the Baekje archaeology in which the construction period of Garakdong Tomb No.2 were from the late 3rd century, and chronology on the Silla archaeology in which Hwangnamdaechong nambun was designated as the tomb of King Namul to the harnesses of Korea and China in those days, not only the history of ancient harnesses in East Asia, but also that of harnesses in the world should be written. But, applying chronology on the GanJi (干支) script of cloud-pattern the roof-end tiles from the late 4th century, on Garak-dong Tomb No.2 from the end of the 4th century, and on Hwangnamdaechong nambun designated as the tomb of King Nulji to chronology on the Chinese harness in East and West Jin Dynasty-16Guo Dynasty, there is almost no gap among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