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살인죄 양형에서 무기형 이상 부과기준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A Comparative Study of Sentencing Guidelines on the Imposition of Life Imprisonment or the Death Penalty in Homicide Case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9.07
28P 미리보기
살인죄 양형에서 무기형 이상 부과기준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형사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형사정책 / 31권 / 2호 / 235 ~ 262페이지
    · 저자명 : 박형관

    초록

    형사정의의 실현을 위하여 양형이 공정하고 객관적이어야 한다는 점에는 이론이 없다. 살인죄는 범죄의 심각성이 가장 중대한 범죄로 공정성과 객관성이 유지되어야 할 필요성이 더욱 크다. 살인죄의 양형에서 형량뿐만 아니라 사형이나 무기형이 선택되는 기준이 투명하여야 하고 부당한 편차가 없어야 할 것이다. 한국은 살인죄 법정형의 폭이 넓고 살인죄 양형기준에서 무기형 이상을 부과하는 기준이 뚜렷하지 않다. 이로 인하여 법관의 재량 폭도 넓다.
    살인죄 양형에서 무기형 이상 형을 선택할 때 어떠한 인자들을 고려할 것인지 여부와 바람직한 절차가 어떤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이다. 따라서 이에 관한 여러 선진 국가들의 살인죄 법령이나 양형기준 등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사형제를 폐지한 국가들 중 무기형을 선고하는 기준을 한국보다 자세히 법률로 정하고 있는 곳이 많다. 가장 중한 인자 한 두 개만을 고려하여 무기형 이상 부과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은 단순하고 명확한 면은 있으나 다른 주요 가중, 감경인자들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해 양형의 개별성을 해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살인죄 양형기준의 개선을 통하여 무기형 이상에 관한 형종 기준을 별도로 마련하는 것이 타당한 개선책으로 보인다. 양형실무의 분석과 비교법적 검토를 통하여 추출된 다양한 가중, 감경인자를 고려한 기준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개선된 기준은 사전 계획 유무, 잔학성, 재범위험성 및 피해자의 숫자, 범행 동기 등 주요 인자를 1차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무기형 이상을 선택하는 양형 단계를 제시함으로써 양형절차의 투명성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국민참여재판을 더욱 활성화하여 국민들에게 살인죄 양형에서 무기형 이상을 부과할지 여부에 관한 의견을 제시하는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re is no denying that sentencing should be fair and objective in achieving criminal justice. Homicide, because of its seriousness, demands a commensurate level of fairness and objectivity in deciding these cases. In homicide sentencing, not only must the standards in deciding the term of imprisonment be transparent but the standards in which a decision between life imprisonment or the death penalty is made be equally clear with no unwarranted disparity. Unfortunately, guidelines for homicide as set in Korea allows for a broad sentencing range and the standards for imposing the death penalty or life imprisonment remain vague leaving much room for a judge’s discretion.
    It is a difficult task to determine what factors to consider when deciding between the death penalty or life imprisonment in homicide sentencing as well as what kind of procedure is appropriate. In this regard, it would be profitable to refer to the laws and sentencing guidelines of advanced countries.
    The countries where the death penalty have been abolished have necessarily developed more concrete provisions in imposing life imprisonment than South Korea. The consideration of only one or two major factors in deciding whether to impose the death penalty or life imprisonment may at the outset seem simple and clear but it undermines the distinctiveness in sentencing as it ignores the myriad of important aggravating and/or mitigating factors in each individual case.
    First of all, it would be reasonable to improve the guidelines for homicide sentences and to provide separate standards for selecting the death penalty or life imprisonment.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criteria considering various aggravating and mitigating factors extracted from the analysis of sentencing practice and comparative legal review. Improved guidelines would at the first stage consider major sentencing factors such as premeditation, cruelty, the risk of recidivism and the number of victims as well as the motive for the crime. It is also pivotal to increase transparency at the next level of deliberations in deciding between life imprisonment or the death penalty by presenting any anomalies peculiar to the case. Expanding opportunities for various opinions to be aired in deciding between the death penalty or life imprisonment as in jury or citizen advisory trials would enhance objectivity and limit any prejudices that might be present in the individu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형사정책”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