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주의 장에서 소수 이민 여성의 ‘불법적 위치’ 재전유하기: 프랑스의 중국 조선족 연구 (A Re-appropriation of ‘Illegal positionality’ of Minority Immigrant Women in the Field of Migration: A Study of the Chinese Ethnic Group Chaoxianzu(朝鮮族, Korean-Chinese) in France)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1.02
48P 미리보기
이주의 장에서 소수 이민 여성의 ‘불법적 위치’ 재전유하기: 프랑스의 중국 조선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55권 / 1호 / 131 ~ 178페이지
    · 저자명 : 이미애

    초록

    이주 중국 조선족에게 부여되곤 하는 한인 에스닉 하위 주체는 이주사회, 특히 남한인의 시각에 한정된 호명으로, 이들에 대한 낙인과 배제를 당연시하는 기제가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의 조선족여성의 노동경험 연구를 통해 이주의 장에서 소수 이민 여성의 위치를 다층적·다각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그 배제의 메커니즘뿐만 아니라 이 여성들의 행위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그것을 지구적·국가적·개인적 층위에서 살펴보고 이주모국(중국 연길)과 이주사회(프랑스 파리) 양측의 시각을 교차·검토하되, 이주사회가 아니라 이주민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연구 결과, 조선족 여성은 이주 경제의 ‘저렴한’ 미등록 노동자로서 지구적·국민 국가적 자본주의의 작동에 ‘기여’를 하나, 국가적 틀에서‘불법’이라는 이름으로 배제됨으로써 개인적 차원에서 ‘대가’를 치러야 하는 이민자였다. 이들은 오랜가족 이산은 물론이고 저임금, 장시간 노동 등 차별적 노동조건과 위계적 노동관계로부터 고통 받는다. 프랑스의 공식 노동시스템 밖에 위치하는 노동자로서 이들의 노동조건이 주요 고용주인 재불 남한인의 에스닉 노동의식, 특히 계급 모순이 극대화된 산업화시대 노동의식에 기반하기 때문이다. 이주국의 정책과 재현방식은 이러한 차별을 불법의 대가로 등치시켜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만듦으로써 그 모순을 방치하고 개별화시킨다. 이에 조선족 이주 여성들은 구조적 불평등에 맞서 위명여권, 가짜 난민신청 등 ‘위법’적 방식을 동원하고 잦은 이직, 파업 등으로 체류 및 노동의 정상화를 구축하면서 삶을재조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들 소수 이민 여성은 이주의 장에 종속되었지만, 그러한 종속을 해체· 재구성하는 ‘당사자’임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Korean ethnic Subaltern, a notion often given to the group of Chaoxianzu (朝鮮族, Korean-Chinese) immigrants, is a naming limited by the perspective of migrant societies, especially by the South Koreans, which is a mechanism to take for granted the stigma and exclusion of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ehaviour of women and the mechanism of exclusion by examining the positionality of minority immigrant women in the field of migration in a multi-layered and multi-disciplinary manner through the study of the labor experience of Korean-Chinese women in France. It examines from the global, national, and individual dimensions. And the views on both the mother country(Yanji, China) and the hosting society (Paris, France) are cross-reviewed; however, these are analyzed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hese migrants, not on the immigrant social perception. The study indicates that Chaoxianzu women were ‘low-cost’ unregistered workers of the migrant economy, who have ‘contributed’ to the operation of global and national capitalism but were the immigrants who had to ‘pay the cost’ on a personal level by being excluded under the name of ‘illegal status’ from the national framework. They suffer from long-term family separation and discriminatory labor conditions on top of hierarchical labor relations such as low wages and long-term labor. As workers located outside France’s official labor system, their working conditions depend on the ethnic labor consciousness of South Koreans, who are the largest employers, especially in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in which maximized class contradictions do exist. The policy towards and the representation methods of the hosting country show the country sees this as an obvious consequence of illegality, leaving it a contradicted and individualized matter. To make a stand, Chaoxianzu women reorganize their lives by using illegal methods, such as false passports and fake refugee applications, against structural inequality and by establishing normalization of stay and labor through frequent turnover and strike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as these minority immigrant women were subordinated to the field of migration, but they were ‘actors’ to deconstruct and reconstruct such dependenc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