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특허권에 적용되는 속지주의 및 구성요소완비 원칙의 예외를 인정하는 특허법 개정방안 - 대법원 봉합사 법리 및 미국 특허법 제271(f)조 법리의 반영 - (Proposed Amendments to the Patent Act Recognizing Exceptions to the Territoriality Principle and All-Elements Rule: Reflecting the Jurisprudences of the Korean Supreme Court’s Bonghapsa Case and Secti)

6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5.03
63P 미리보기
특허권에 적용되는 속지주의 및 구성요소완비 원칙의 예외를 인정하는 특허법 개정방안 - 대법원 봉합사 법리 및 미국 특허법 제271(f)조 법리의 반영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성균관법학 / 37권 / 1호 / 381 ~ 443페이지
    · 저자명 : 이서영, 정차호

    초록

    속지주의와 구성요소완비 원칙은 특허권의 보호범위와 관련된 매우 중요한 원칙이다. 전통적으로 특허법은 청구범위가 특정한 모든 구성요소가 국내에서 실시되어야만 특허권 직접침해로 인정하였다. 그러나, 글로벌 생산 및 공급망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법리가 특허권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또 전통적으로 한 국가에 등록된 특허의 권리는 그 국가에서만 효력을 가진다. 그러나, 교통과 통신의 발전으로 인해 국경이 예전처럼 큰 의미를 가지지 않게 되었다. 그러한 연유로 그 두 원칙의 엄격한 준수가 특허법 보호에 법적 구멍(loophole)을 만들기도 한다. 환경의 변화로 인한 특허권의 약화라는 새로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적 대응의 필요성이 인정된다. 그러한 과제를 염두에 두고 이 글은 한국 대법원의 봉합사 판결 및 노키아 판결, 미국 연방대법원의 Deepsouth 판결, 미국 특허법 제271(f)조는 물론이고, 그 외 중국, 일본, 영국, 독일 및 대만지구의 법리 및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로 특허권을 실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특허법 개정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구성요소가 완비되지 않은 국내 실시를 특정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특허권 직접침해로 인정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대법원 봉합사 판결의 법리를 약간 확대하여 정식 규정으로 도입하는 방안이다. 둘째, 직접침해에 상응하는 행위가 외국에서 발생한 경우에도, 그 행위와 관련된 국내에서의 유도행위, 기여행위를 간접침해로 포섭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노키아 판결이 채택한 이중속지주의의 예외를 인정하는 방안이다. 이러한 특허법 개선을 통하여 달라진 환경에서 특허권이 제대로 보호받고, 나아가 혁신역량이 제고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territoriality principle and the all-elements rule are essential in defining the scope of patent protection. Traditionally, patent law has required that “all elements” specified in a claim be implemented “domestically” for an act to constitute patent direct infringement. However, with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global production and supply chains, strict adherence to these principles has, at times, resulted in insufficient patent protection. Furthermore, the conventional principle that patent right is effective only within the country where it has been granted has been challenged by advancements in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which have reduced the significance of national borders. As a result, strict application of these principles has created legal loopholes, necessitating legal responses to prevent the erosion of patent rights in the changing environment.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egal principles and cases related to the Korean Supreme Court’s Bonghapsa decision and Nokia decision, the U.S. Supreme Court’s Deepsouth decision, U.S. Patent Act section 271(f), and furthermore relevant legal principles and precedents from China, Japan, the United Kingdom, Germany, and Chinese Taipei. Based on this analysis, this article proposes legislative amendments to ensure effective protection of patent rights. First, this study suggests recognizing direct patent infringement even when all elements of a claim are not fully implemented, provided that certain conditions are met. This proposal seeks to codify and slightly expand the legal reasoning of the Bonghapsa decison. Second, this paper recommends recognizing indirect infringement in cases where foreign acts corresponding to direct infringement are induced or contributed to by domestic activities. This proposal acknowledges an exception to the strict territoriality principle based on the double territorial limitation, as adopted in the Nokia decision. Through these legislative improvements, this paper aims to strengthen protection of patent rights in Korea in response to the evolving global environment and enhance Korea’s innovation capab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성균관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