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관위임사무에 대한 국가감독 수단으로서의 대집행소송제도 도입방안 - 지방자치법 제170조의 논의를 중심으로 - (The Introduction of Ersatzvornahme Litigation as State's Control means on Organ Delegated Affair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5.03
21P 미리보기
기관위임사무에 대한 국가감독 수단으로서의 대집행소송제도 도입방안 - 지방자치법 제170조의 논의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방자치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자치법연구 / 15권 / 1호 / 95 ~ 115페이지
    · 저자명 : 김상태

    초록

    지방자치단체가 독립된 행정주체라고 하여도 지방자치제는 그 자체가 국가제도라는 관점에서 국가에 의해 제정된 법률에 의하여 인정되고 있고, 행정적으로도 국가행정의 일환이므로 국가와는 완전히 분리된 별도의 법질서라고는 할 수 없는 바, 이러한 측면에서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국가의 감독은 불가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국가감독은 그 불가피성에도 불구하고 헌법상 보장된 자치권을 침해할 우려가 다분히 있으며, 특히 종래 국가의 후견적 감독을 당연시해 온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현실을 고려하면 국가감독은 적법하게 행사되어야 하고, 자치권을 보호ㆍ보장하여야할 제도 또한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해서 본 논문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중 기관위임사무에 한정해서 국가감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검토하여 보았다. 기관위임사무에 대한 감독수단은 다양하나, 본 논문에서는 지방자치법 제170조에서 정하고 있는 직무이행명령과 그 불이행에 따른 대집행에 대해 검토하였다. 직무이행명령과 그 실효성 확보를 위한 대집행은 헌법이 보장한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을 과도하게 침해하는 것은 아닌지 위헌문제까지 발생할 수 있다. 국가기관에 의한 직무이행명령 후 어떠한 절차도 없이 국가기관에 의해 바로 대집행권이 행사되면, 설령 그것이 기관위임사무라고 하여도 지방자치권의 과도한 침해하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지방자치권을 보호하면서도 일방적 국가감독권 행사가 아닌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국가감독 수단을 도입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직무이행명령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에도 국가기관은 일방적인 의사에 의해 자의적으로 대집행을 발동하여서는 안된다.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당해 사항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국가기관은 소송을 제기하여 당해 사항을 이행해야만 한다는 것을 명령할 수 있는 취지의 재판을 청구하여야 한다. 그 후 법원이 국가기관의 청구에 이유가 있다고 판결을 하였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판결한 기한 내에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을 대신하여 국가기관은 집행을 할 수 있게 된다.

    영어초록

    Local government may be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subject, but local autonomy system is recognized an Act enacted by the nation in the viewpoint of state system itself. As it is the part of the administration of state also in administrative aspect, it cannot be a different law and order entirely divided from the nation. In this side, state's control over Local government can be unavoidable. However, notwithstanding the unavoidability of state's control, it is likely to infringe the right of local autonomy. So state's control has to be exercised legally, and the system to protectㆍguarantee right of local autonomy has to be prepared as well.
    In relation with this, we reviewed the problem and improvement plan of state's control confined to organ delegated affairs out of the affairs of local government in this study. The state's control over organ delegated affairs is varied, but in this study, we examined order for performance of duty and vicarious administrative execution provided in Article 170 of Local Autonomy Act. Currently there is a bit of doubt that order for performance of duty and vicarious administrative execution may infringe the right of local autonomy of local government secured by constitutional law exceedingly. For after the order for performance of duty, the vicarious administrative execution is exercised without any procedure by a state organ, even organ delegated affairs can be considered as an excessive infringement of right of local autonomy.
    So in this thesis, we suggested a plan to introduce a reasonable and effective means of state's control together with the protection of instead of a unilateral state's control exercise right of local autonomy. In summary, it is as follows. Even if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fails to perform the order for performance of duty, the state organ must not exercise the vicarious administrative execution voluntarily by his one-sided intention. If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fails to relevant affairs, a state organ should raise a litigation and demand a trial for the intent to the court to order the performance of relevant affairs. After then, if the court decided that the claim of a state organ had the reason, nevertheless, if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doesn't take any measure within the limit of decision, a state organ can execute relevant affairs on behalf of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