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결정족수에 대한 착오에 의한 표결실패에 대한 국회법 제92조의 일사부재의 원칙의 적용 (Application of Nes Bis In Idem to A Vote Failed Due to Mistake on the Presence of Quorum)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2.10
34P 미리보기
의결정족수에 대한 착오에 의한 표결실패에 대한 국회법 제92조의 일사부재의 원칙의 적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20권 / 3호 / 79 ~ 112페이지
    · 저자명 : 박경신

    초록

    미디어법 재투표 사태의 핵심은 국회법 제92조의 일사부재의의 원칙을 해석함에 있어 표결 도중에 또는 표결의 결과로서 재석의원 과반수의 부족이 확인된 경우 ① 곧바로 재투표를 할 수 있는가 아니면 ② 산회를 하여 재석의원 과반수를 확보한 후에 재투표를 할 수 있는가이다.
    즉 부결인가 표결불성립인가에 대한 구분의 개념법학적 문제가 아니라 ‘재석의원 과반수의 존재를 확인하지 않고 다시 곧바로 표결할 수 있는가’의 실천적인 문제인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회법 제92조의 일사부재의의 원칙의입법취지 등을 살펴보아야 한다. 그 입법취지에 비추어 우리는 ‘재석미달표결’을 치유하기 위한 재투표가 가능한지를 판단해 볼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부결’인가 ‘표결불성립’인가의 개념적인 문제가 아니라여러 가지 법익등을 고려하여 재투표를 허용하는 것이 올바른가의 실천적인 문제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그렇게 보았을 때 국회법 제92조가 추구하는 숙의의 의상 - 즉 회기를 바꾸어서만 같은 사안을 다시 제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숙의가 이루어진후에야 표결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취지 - 의 입장에서는 ② 산회를 하여재석의원 과반수를 확보한 후에야 재투표를 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
    즉 일사부재의원칙의 ‘표면적인’ 입법취지는 의사의 확정을 통한 소수의의사방해방지이며 이것만으로는 의결정족수 미달을 부결로 볼 것인지가 불분명하다. 그러나 일사부재의원칙이 회기를 넘겨서 재의를 허용한다는 면 즉 충분한재논의의 시간을 가진 후의 재의는 허용한다는 점을 파악한다면 일사부재의원칙의 입법취지는 경솔한 표결을 예방한다는 숙의의 이상을 그 목적으로 하고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미국, 일본, 독일의 입법례는 의결정족수의 부재가 확인되는 경우에는‘재투표’를 해서는 아니되고 의결정족수를 먼저 확보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국회의 관행 역시 재투표가 아니라 산회 등을 통하여 의결정족수를 먼저 확보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들 외국의 입법례는 숙의의 이상과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의결정족수 또는 회의성원은 표결 또는 회의의 유무효를 결정하는 중차대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흠결이 포착될 경우 ‘재투표’와 같이 그 효력이 불분명하고 논란만 가중시킬 의사진행은 금지되어야 하기때문이다.
    결국 의결정족수의 부재가 확인되었다는 사실에 국회가 ‘예의’를 갖추어모든 의사진행을 중단시킨다면 헌법재판소의 4인의견이 말한 ‘소수의 국회의원만이 참석한 상태에서의 표결도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하여야 하고, 이때에는재적의원 과반수의 출석요건을 갖추지 못한 이상, 굳이 투표결과를 확인할 필요도 없이 재적의원 과반수의 출석에 미달하여 부결이 된다는 결론’에 도달하지않게 된다. 즉 소수의 국회의원만이 참석한 상태에서 표결을 시도했다가 의결정족수의 부재가 확인되어 부결된 경우 일사부재의원리에 의해 그 안의 재의가금지되는 것이 아니라 재투표는 가능하다. 단, 의결정족수가 부재하므로 곧바로해산하여 새로 회의를 소집하거나 의결정족수를 확보하는 절차를 먼저 거쳐야만 비로소 재투표가 가능해진다.

    영어초록

    Article 92 of the National Assembly Act codifies the principle of nes bis in idem, a principle that prohibits deliberation of the same bill more than once during the same legislative session. This article deals with how that principle applies to a situation where the Assembly proceeded to commence voting and found out that there was no quorum for resolution. Should the Assembly consider the failed vote as a negative resolution on the matter and bar itself from voting on it again? Or should it consider the failed vote as “no resolution” and vote on it again? This author believes that the principle of nes bis in idem does not aim singularly at securing “finality” on all legislative actions but also strikes a compromise with legislative autonomy, in particular, the legislature’s right to change its mind. This is why the legislature can always change its mind in a subsequent session. Therefore, in applying the rule to a failed vote situation, one must consider this compromise. The relevant rules of the U.S. and Germany require the quorum-less meeting to stop immediately and reopen the proceeding only after the quorum has been obtained and upon reopening, the failed vote can be voted upon again within the same legislative session. This author believes that these rules are consistent with the higher goal of full deliberation which the rule of nes bis in idem tries to serve.
    An immediate reopening of the vote undermines the ideal of full deliberation because it involves ignoring the prior finding that there is no quorum and creates an uncertainty as to which count is the correct one in event that the reopened vote succeeds. Whenever lack of quorum is noticed by a meeting body, the ideal of full deliberation requires the body to stop the meeting and reopens the meeting with a quorum present, at which time the matter previously failed to be voted upon can be revoted upon. This ‘next meeting’solution will obviate the concern that deeming a vote on a matter failed due to lack of quorum as rejection of that matter will allow a minority to abuse the rule of nes bis in idem because the majority can always revote in the next mee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