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鄭齊斗의 未發之中論에 관한 硏究 — 朱熹와의 比較를 中心으로 — (A Study on the the Jung, Jae-doo's theory of ‘wei-fa-zhi-zhong)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09.03
32P 미리보기
鄭齊斗의 未發之中論에 관한 硏究 — 朱熹와의 比較를 中心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35호 / 77 ~ 108페이지
    · 저자명 : 김윤경

    초록

    본 논문은 주희의 未發之中論과 정제두의 未發之中論의 비교를 통해서 정제두의 공부론적 기초를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주희가 中和新說에서 설정한 未發之中의 개념은 已發時 뿐만 아니라, 未發時도 공부의 범위에 포함시킴으로써 공부주체의 주재성을 확장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주희는 未發의 상태를 사려가 싹트지 않고 사물이 이르지 않은 의식의 순일한 상태로 규정하고 이 때의 기상을 잘 보존하는 것을 공부의 본령으로 삼았다. 이때의 기상이란 주관적인 의도가 전혀 없어서 어느 것에도 치우치거나 기울지 않는 中의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中의 상태는 순일한 의식단계 속에 드러난 본체의 모습을 형용한 것이다. 주희는 未發之中을 곧 渾然在中이라 하였고, 이것을 時中, 致中과 구별했다. 주희의 논점은 인간이면 누구나 진정한 未發의 상태에 도달했을 때, 中의 상태를 경험할 수 있고 이때의 공부가 매우 중요하다는 데 있었다. 그러나 정제두는 未發時에 渾然在中 하게 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가능하더라도 일시적이기 때문에 大本이 될 수 없다고 보았다. 정제두에 의하면 未發時의 渾然在中은 성립될 수 없고, 아울러 이를 보존하는 공부도 불가능하다. 정제두는 『中庸』』 나오는 ‘未發’ 개념은 주희가 말하는 것 처럼 의식의 한 단계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천리 본체와 현존재의 본래성을 말하는 것이라고 한다. 정제두는 ‘未發’을 ‘不發’과 구분하면서 ‘發而未發’이라고 표현하였다. ‘發而未發’은 천리 본체가 寂然하면서도 感通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아울러 현존재에게 있어서는 喜怒哀樂의 감정이 발하되 사욕과 객기에 의해 움직인 사사로운 감정은 일어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정제두의 未發之中은 곧 大本之中이며, 이것은 본체의 본래성이면서 동시에 이러한 본래성이 현존재 안에서 도덕 주체로서 제대로 확립된 상태를 말한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I have tried to closely examine academic base of Jung, Jae-doo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Zhu xi's theory of ‘wei-fa-zhi-zhong (未發之中)’ & the Jung, Jae-doo's theory of ‘wei-fa-zhi-zhong’. Included into the coverage of self-cultivation at time of ‘wei-fa(未發)’ as well as ‘yi-fa(已發), the concept of ‘wei-fa-zhi-zhong’ that Zhu xi established in ‘zhong-he-xin-shuo(中化新說)’ has been designed to expand remaining of subject of self-cultivation. Zhu xi regarded state of wei-fa as that of purity of consciousness without blossom of consideration or arrival at things' being. and it was deemed main ordinance to keep the spirit well. The spirit here means a state balanced without leaning toward anything with no subjective intention. The state of ‘zhong(中)’ represents a figure of a intrinsic nature appearing in the stage of consciousness of purity. Zhu xi thought of ‘wei-fa-zhi-zhong’ as ‘hun-ran-zai-zhong(渾然在中)’, while telling that from ‘shi-zong’, ‘zhi-zhong’. Zhu xi claims that when humans reach actual state of ‘wei-fa’, they can experience the state of ‘zhong(中)’ and self-cultivation at this time is very important. However, Jung, Jae-doo thought that ‘hun-ran-zai- zhong’ at time of ‘wei-fa’ was almost impossible and temporary if possible, therefore, it could not be ‘da-ben’. According to Jung, Jae-doo, at time of ‘wei-fa’, ‘hun-ran-zai-zhong’ could not be established, self-cultivation with (while maintaining) that could be almost impossible. Jung, Jae-doo said that the concept of ‘wei-fa’ in 『Zhong Yong(中庸)』 is not a stage of consciousness as Zhu xi said, but the originality of substance and present existence. Jung, Jae-doo introduced an expression of ‘fa-er-wei-fa(發而未發)’ differentiating ‘wei-fa’ from ‘bu-fa’. ‘fa-er-wei-fa’ means that the original substance is desolate, not immovable, while emitting emotions of pleasure, anger, sadness to present existence. without being moved by personal feelings of greed and rashness. Jung, Jae-doo's ‘wei-fa-zhi-zhong’ means ‘da-ben-zhi-zhong’, which is originality of substance, and it means that such essentiality is established as a moral subject at the sam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