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능정보사회에서 민감정보의 보호와 이용을 위한 법제 정비방안 연구 (A Study on Legislation for Protection and Use of Sensitive Information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21.08
40P 미리보기
지능정보사회에서 민감정보의 보호와 이용을 위한 법제 정비방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법학 / 29권 / 2호 / 77 ~ 116페이지
    · 저자명 : 김민우, 김일환

    초록

    지능정보사회의 도래에 따라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등 신기술을 바탕으로 방대한 양의 개인정보가 수집 및 이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다만, 지능정보기술의 특성상 개인정보의 이용이 요청됨에 따라 그에 못지않게 개인정보의 침해가능성도 증대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결국 개인의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인격권 등 헌법상 기본권 보장을 위해 개인정보의 안전한 보호와 이용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하게 되는 기반을 제공하게 된다.
    현행 개인정보 보호법에서는 개인정보를 살아 있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서 성명, 주민등록번호 및 영상 등을 통하여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 그리고 해당 정보만으로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더라도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알아볼 수 있는 정보(이 경우 쉽게 결합할 수 있는지 여부는 다른 정보의 입수 가능성 등 개인을 알아보는 데 소요되는 시간, 비용, 기술 등을 합리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지능정보기술은 이러한 개인정보를 광범위하게 수집하는 과정에서 정보주체의 사생활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민감정보도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
    민감정보는 그 특성상 개인의 사생활과 연결이 될 뿐만 아니라 민감정보가 오・남용될 경우에는 사회적으로 부당한 편견과 차별을 유발할 수 있는 성격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민감정보라고 하여 보호만 하여야할 것은 아니며, 개인의 건강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헬스케어 등 신산업의 부가가치를 고려하면 적정한 이용을 보장해줄 필요성도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관점에서 현행 개인정보 보호법상 민감정보의 보호범위를 유럽연합, 미국, 일본 등 주요 국가의 개인정보 보호법과 비교하여 민감정보의 범위와 활용에 대해 검토해본다. 그러한 비교법적 검토를 바탕으로 현행 개인정보 보호법의 정비방안을 제언함으로써 지능정보사회에서 민감정보 관련 정보주체의 보호 강화와 적정한 이용을 도모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Personal information gradually turns into be one of the key resources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n which the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internet of things, clouds play significant roles for innovative services and products. However, there is no doubt that the probability of data breach rises as the importance of personal information grows with the latest technologies.
    The definition of sensitive information is clearly written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Act explicitly provides examples to define what the sensitive information is. Pursuant to the article 23 of the Act, information about one’s ideology, belief, admission to or withdrawal from a trade union or political party, political opinions, health, sex life falls into the scope of the sensitive information. Besides, other personal information that is likely to markedly threaten the privacy of any data subject is equivalently treated as the sensitive information. Furthermore, the Act limits the use of such information since sensitive information is highly related to the right to privacy given to each data subject.
    How we set balance between the protection and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comes to the critical task in the fast-evolving society driven by latest data technologies. The sensitive information is not in difference. To that end, this article looks into global protection laws in order to compare the protection scope of sensitive information. In addition, under the perspective that the saf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s required for economical innovation driven by the data technologies, this article suggests to amen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First, the Act should expand the scope of sensitive information by adding information about sexual orientation and information about criminal victimization. Second, in order to protect data subjects, the legal basis for processing sensitive information should be limited to laws only passed by the legislature body. These would expand the protection scope of data subjects with regard to sensitive information.
    Currently, the Act only allows two conditions to process sensitive information, consent from a data subject or by other statute that allows to process sensitive information. Comparing to relevant provisions written in the EU GDPR, this limitation is likely to be narrowly regulated. Thus, the Act should be amended in order to process sensitive information by adding four exceptions like the EU GDPR. With four exceptions, the task to balance the protection and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sensitive information, would be completed without harming the data subject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