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순천 환선정(喚仙亭)의 역사적 변천에 따른 경관 변화와 시사점 (Changes and Implications of Landscape by Historical Transition of Suncheon Hwanseonjeong Pavilion)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22.09
10P 미리보기
순천 환선정(喚仙亭)의 역사적 변천에 따른 경관 변화와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40권 / 3호 / 36 ~ 45페이지
    · 저자명 : 김순기

    초록

    본 연구는 순천 환선정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과거 본래의 환선정의 경관과 이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파악한 후, 이를 현존하는 죽도봉 환선정의 경관과 비교함으로서, 현재의 복원이 가지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복원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환선정은 관아의 원림 건축으로 1543년 당시 순천부사로 있던 심통원에 의해 창건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중수되면서 과거 선향 순천을 대표하는 누정으로서 동천과 맞은편 죽도봉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위치에 인공적으로 조성된 호수와 다른 원림 요소들과 함께 자리 잡고 있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도 무사히 유지되어온 환선정은 1968년 8월 28일 순천에 큰 수해가 나면서 유실되었다. 환선정이 다른 소실된 누정과 다른 점은 소실되기 이전인 1935년 환선정의 사정 역할을 분리한 또 다른 환선정을 죽도봉에 지었고, 해당 누정이 1988년 현재 위치로 이동되면서 현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환선정의 복원 사례는 누정 복원에 있어 중요한 다음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누정의 가치는 건축물 그 자체가 아닌, 누정을 둘러싼 주변 경관과의 관계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누정의 복원은 단순히 건축물의 복원과 같은 방식으로 접근해서는 안 되며, 누정의복원은 기존의 경관 가치를 이해하고 건축물과 함께 경관 요소를 복원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환선정과 함께 인공적으로 조성된 남북으로 긴 형태의 호수가 매우 중요한 경관 구성요소이자 경관 유람의 방법을 제공하는 수단이었다. 환선정의 문화적 맥락에서의 복원을 위해서는 과거 환선정에서 이루어진 문화적 행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통합적인 고증과 복원을 통해 문화적 행위에 대한체험 등을 복원하는 노력 또한 요구된다. 셋째, 현존하는 환선정은 과거 본래의 환선정과 비교하여 건축물 복원에서도 과거와는 다른 형태 및 구성, 규모, 색채 등을 보인다. 건축물의 복원이라는 측면에서도 더욱 정확한 고증과 연구, 조사 등을 통해 복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Hwanseonjeong Pavilion in Suncheon, identifies the landscape of the original Hwanseonjeong Pavilion in the past and its constituent elements, and compares it with the landscape of the present Hwanseonjeong Pavilion at Jukdobong area. It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draw implications for future restoration of Hwanseonjeong Pavilion. Hwanseonjeong pavil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built in 1543 by Tong-won Shim, the governor of Seungpyeong, as a garden architecture for government. Since then, it has been renovated several times, and as a pavilion representing “Seonhyang(immotal world)” Suncheon in the past, it was located along with an artificially created lake and other elements of the garden at a location where can be seen Dongcheon stream and Jukdobong Peak on the opposite side at a glance. Hwanseonjeong pavilion, which had been safely maintain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lost on August 28, 1968 due to a major flood in Suncheon. The difference between Hwanseonjeong Pavilion and other lost is that another Hwanseonjeong Pavilion for the role of archery was built on Jukdobong Peak in 1935, before it was destroyed.
    The restoration case of Hwanseonjeong pavilion provides the following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restoration of pavilions as a garden architecture: First, the value of a pavilion is not formed from the building itself, but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Therefore, restoration of a pavilion should not be approached in the same way as restoration of buildings. Restoration of a pavilion requires efforts to understand the existing landscape value and to restore landscape elements together with buildings. Second, an artificially created long north-south lake along with Hwanseonjeong pavilion was a very important landscape component and a means of providing a way to enjoy the landscape. For restoration in the cultural context of Hwanseonjeong pavilion, efforts are also required to restore not only the architecture, but also the experience of cultural activities through an integrated examination and restora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activities performed in Hwanseonjeong Pavilion. Third, compared to the past original Hwanseonjeong Pavilion, the existing Hwanseonjeong Pavilion shows a different shape, composition, scale, color, etc. In terms of the restoration of buildings, it is thought that restoration will be possible only when restoration is done through more accurate historical evidence, research, and investig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