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생물안전법에 대한 연구 ― 문제점 및 해결방안 중심으로 ― (Study on china's Biosafety Law — Focus on problems and solutions —)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0.04
49P 미리보기
중국 생물안전법에 대한 연구 ― 문제점 및 해결방안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환경법연구 / 42권 / 1호 / 177 ~ 225페이지
    · 저자명 : 한승훈, 이현우, 홍현정

    초록

    생명공학 기술은 의료, 위생, 농업, 환경보호, 화공, 식품 및 보건 영역에서 인류의 건강과 생존 환경을 개선하였고, 농림업과 공업의 생산량 및 품질을 향상 시키어 전 세계 경제발전에 많은 공헌을 함과 동시에 생물안전 문제, 윤리 및 도덕과 같은 부정적인 문제들도 가지고 있는 “양날의 검”과 같다.
    생물안전은 영어로 안전성을 의미하는 ‘biosafety’ 또는 안보를 의미하는 ‘biosecurity’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고,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안전한 관리, 감염성 병원체로 인한 질병의 관리 같은 것은 바이오 안전성(biosafety)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가축 질병의 만연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생물테러, 생물무기와 관련될 경우 “생물안보”(biosecurity)라고 부를 수도 있다. 이처럼 생물안전 개념은 국가, 지역, 집단, 개인 혹은 여건・상황에 따라 용어나 내용적 범위를 달리해 쓰이고 있다.
    생물안전의 관리주체는 일반적으로 민간, 기업,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이며 주요 관리대상은 전염병, 병해충, 유전자변형, 외래종, 기후변화, 오염물질 등이고, 관리범위는 지리적으로 생태계, 지역, 국가, 전 세계이면서 사회, 문화, 환경, 위생 등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다루고 있다. 따라서 생물안전에 소홀할 경우 지역사회나 국가를 넘어서 심각할 경우 전 세계까지 확산될 수 있다.
    중국은 1990년대부터 생물안전 관련 법률, 법규, 행정명령 형식의 규범성 문건들을 발표하였고 생물경제 발전이 가져온 생물안전 문제에 대한 법률과 법규들을 제정하였다. 그러나 생물안전 선진국가와 달리 중국의 생물안전 관계 법제는 아직 그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기존 법률과 법규들은 실질적인 생물안전 수요에 비해 부족한 부분들이 있다.
    주지하다시피 WHO가 2020년 3월 11일 코로나19(COVID-19) 사태에 대해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하였으며 전 세계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이러한 중대한 생물안전 문제들의 특징은 다양성, 광역성, 집단성, 전파성, 치명성, 복잡성 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런 특징으로 인해 생물안전 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 상당한 수준의 과학적 지식과 경험이 요구되고, 동시에 관련 법체계, 관리체계, 제도들은 가능한 중복을 피하고 간결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중국 생물안전 관련 법률과 법규의 주요 문제는 중국의 민법 체계가 단행법 위주의 입법형태를 갖추고 있어 조정 대상 위주로 개별법을 제정하다 보니 관련 법률과 법규간 내용상 불일치, 비협조, 모호성을 피할 수 없다. 이것은 생물안전 관리체계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중앙과 지방의 복잡한 보고 체계, 지방정부의 응급조치 권한 비효율성, 정보공개의 비신속성, 사법제도 부실 등의 문제 등을 안고 있다.
    따라서, 중국은 조속히 생물안전법의 제정을 통해 현행 중국 생물안전 법체계의 구조적 결함을 개선하고, 생물안전에 관계된 법규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적인 법체계를 수립하며, 기존의 복잡하고 중복적인 관리체계를 개선하여 중앙과 지방의 입체적・신속적인 협력을 추진하면서 사법기능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Biotechnology has improved human health and survival in the areas of medicine, hygiene, agriculture, environmental protection, chemicals, food, health, and contributes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world by improving the production and quality of agriculture and industry. It is like a “double-edged sword” that also has negative issues such as biosafety issues, ethics and morals.
    In particular, biosafety can be understood as the concept of ‘biosafety’ in English or ‘biosecurity’ in terms of security, and the safety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the management of diseases caused by infectious pathogens . It may also be called “national biosecurity” beyond biosecurity when it comes to economic losses, bioterrorism concerns, and biological weapons due to the prevalence of livestock disease. As such, biosafety concepts are used in different terms or scopes depending on the country, region, group, individual, or situation.
    Biosafety management agencies are generally private, corporate, local and central government. their main management targets are infectious diseases, pests, genetic modifications, invasive species, climate change and pollutants, and the scope of management is geographically ecosystem, region, country and world. In addition, it covers a wide range of fields such as society, culture, environment and hygiene. Thus, neglect of biosafety can spread beyond communities or countries and, in serious cases, to the whole world.
    Since the 1990s, China has published normative documents in the form of laws, regulations and executive orders on biosafety, and enacted laws and regulations on biosafety issues brought on by bioeconomic development. However, unlike the advanced biosafety countries, China's biosafety legislation has not yet reached that level, and existing laws and regulations lack the actual biosafety demand.
    As is well known, WHO declared Pandemic on March 11, 2020 for the Corona 19 (COVID-19), and the world suffered serious damage. These significant biosafety issues are characterized by diversity, wide area, collectiveity, dissemination, fatality, and complexity.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a considerable amount of scientific knowledge and experience is required to effectively prevent and solve biosafety problems, and at the same time, related legal systems, management systems, and systems need to be structured as simple as possible, avoiding duplication.
    The main issue of China's biosafety laws and regulations is that the Chinese civil law system has a legislative form focusing on single law. Individual laws are mainly oriented to mediation, so there are inconsistency, non-cooperation, or ambiguity in the content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is has had an impact on the management system in relation to biosafety, especially the central and local complex reporting system, the in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s' first aid measures, the non-existence of information disclosure, and the lack of judicial system.
    By enacting the Biosafety Act, China will improve the structural deficiencies of the current Chinese biosafety law system, establish an effective legal system to adjust the regulations related to biosafety, and improve the existing complex and redundant management system i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It is expected to strengthen the judicial function by promoting the three-dimensional and rapid coop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환경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