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심부 지열에너지 개발의 제반 법적ㆍ제도적 문제점 (A Study on Regulatory and Institutional Obstacles to the Promotion of Development of Deep Underground Geothermal Energy in the Republic of Korea)

5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1.04
57P 미리보기
국내 심부 지열에너지 개발의 제반 법적ㆍ제도적 문제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환경법연구 / 33권 / 1호 / 253 ~ 309페이지
    · 저자명 : 최인호

    초록

    기후변화문제의 효과적인 해결책인 재생에너지의 개발 및 이용의 촉진이라는 관점에서 심부 지열에너지는 풍력, 태양열 등에 비해 그동안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최근 EGS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무한한 부존가능성, 높은 청정도, 연중 24시간 전력 및 난방에너지의 공급가능성 등 고유의 장점으로 인해 최근 관련 민간업계 주도로 개발프로젝트가 계획되거나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심부 지열에너지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 정부의 재생에너지 지원정책과 그 개발 및 이용을 둘러싼 인ㆍ허가 제도가 정비되지 못한 까닭에 개발과정은 큰 난관에 봉착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초로 이 논문은 정부의 에너지정책의 틀 속에서 재생에너지정책의 방향과 주요 내용을 분석ㆍ비판하고, 지열에너지 개발 및 이용 관련 법제의 여러 문제점과 과제를 검토한 후, 외국의 입법례에 비추어 『온천법』의 개정을 포함한, 『광업법』을 중심으로 한 인ㆍ허가 제도의 재정비를 제안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facilitation and promotion of deep underground geothermal energy is urgently needed in order to mitigate global climate change and pursue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the deep underground geothermal energy industry is still at its early stage of development despite the advent of innovative Enhanced Geothermal System (EGS) technologies and domestic geothermal resource potential enough to contribute to the nation’s renewable energy supply. This is mainly due to regulatory barriers relating to permitting procedures required under the Hot Spring Law and the Underground Water Law, and low-level governmental financial support.


    Under the Hot Spring Law, underground hot water is classified as a hot spring water. Thus, deep underground geothermal energy development projects utilizing underground hot water are subject to onerous permitting requirements and procedures under the Law. Also, similarly onerous permitting requirements and procedures under the Underground Water Law are applicable to deep underground geothermal energy development projects, because underground hot water belongs to ground water. The more serious problem is that the above-mentioned provisions can be applied duplicately and are not sufficient to deal with geothermal energy development activity. Futhermore, the right to explore and produce geothermal energy is covered by the Civil Law due to the non-existence of special legislation that regulates it exclusively. As a consequence, geothermal energy developers must negotiate with the landowners over the utilization of underground hot water, and potentially face prolonged legal battle with them. These and other problems actually function as serious regulatory barriers for the implementation of deep underground geothermal energy development projects.


    Such advanced nations as Germany and Australia are currently leading the world by introducing and implementing a variety of policy tools, which are designed to promote deep underground geothermal energy. These include progressive Feed-In Tariff (FIT) policy, creative financing tools, numerous financial assistance programs, royalty and tax exemptions, and so on. More importantly, many countries treat geothermal energy as minerals or petroleum resources, thereby giving geothermal energy developers the exclusive right to explore and produce geothermal energy for its duration pursuant to the applicable law. Two strengths can be found in terms of policy approaches employed by those foreign countries. First, they try to prevent many of the potential legal problems with the landowners over the utilization of underground geothermal energy by clarifying the nature of the right to explore and produce geothermal energy that is distinctly severable from landownership. Second, they often differentiate between renewable energy resources in designing policy tools by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geothermal energy industry that require more governmental support.


    The author proposes the following law revisions and policy innovation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onsiderations and discussions.
    • The classification of geothermal energy as minerals under the Mineral Law • Possible national ownership over underground geothermal energy resources • Treatment of the right to explore and produce geothermal energy as a exclusive right distinct from landownership under the permitting provisions of the Mineral Law • The enactment of special provisions relating to geothermal energy projects, including a longer period of the right to explore, a larger mineral development project site size, and the Underground Water Law-related permitting procedures exemption clauses • The designing of the nation’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RPS) policy in a direction to promote renewable energy, generally, and deep underground geothermal energy, specifically, including strengthened production quotas and weighted-values awarded to renewable energy certificates (RECs)• The introduction of financial assistance programs to reduce huge drilling and exploration costs and high failure risks relating to deep underground geothermal energy development projects • The implementation of RD&D support programs to facilitate innovation in drilling and exploration technologies and equi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환경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