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럽사법법원의 ‘잊혀질 권리’ 판결과 시사점 분석 (The “Right to be Forgotten” Judgement of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Kore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4.08
29P 미리보기
유럽사법법원의 ‘잊혀질 권리’ 판결과 시사점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보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정보법학 / 18권 / 2호 / 91 ~ 119페이지
    · 저자명 : 정찬모

    초록

    정보통신기술을 통해 고속대용량 정보처리가 가능해짐에 따라 인간생활의 편의가증대하였으나 개인정보가 공공과 민간의 여러 기관에 집적, 처리됨으로써 개인의 프라이버시 영역이 축소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각국은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정보사회 새로운 인권으로 자리매김 하고 개인정보관련 법률을 제정하게 되었다. 이런 배경에서 ‘잊혀질 권리’가 EU 개인정보보호법제 개정안 준비 과정에서 화두로 대두하였으나 진척이 더디던 와중에 ECJ는 Google v. AEPD &González 판결에서 법률개정 없이도 현행 EU정보보호지침 95/46 하에서 ‘잊혀질 권리’가 정보주체의 기본적 권리로 인정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접근은 단순히 법제적인 차원에서 국가 간에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차이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논외로 하고서도 이번 유럽사법법원이 판시한 바와 같은 잊혀질 권리는 아직 그 개념, 근거, 내용 및 한계가 불분명하고 철학적, 법리적, 현실적으로 적지 않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국내적 도입은 법해석으로나 입법적으로나 신중하여야 하며 일단은 현행 정보통신망법상 사생활침해 정보에 대한 삭제요청권의 운용을 재점검하는 수준에서 대응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나아가 정보통신망법의 삭제요청권도 그 남용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않음을 상기한다면 섣불리 ‘잊혀질 권리’를 포함한다는 명목으로 이 조항의 적용을확대할 것이 아니라 일괄적인 블라인드나 삭제보다는 한정적으로 민감한 개인정보만을 차단하는 것과 같은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enhanced the convenience of human life through processing at a high speed of a large amount of personal data, which in turn reduced the realm of privacy. This caused each country including Korea recognize data subjec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its personal data as a new human right in the age of information society. The issue of ‘right to be forgotten’ was raised amid the efforts to reform data protection laws in the European Union, but soon faced fierce opposition and got into a stalemate. The judgement of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in the case of Google v. AEPD & González delivered on May 2014 evaded the stalemate by recognizing the right to be forgotten as a fundamental right under the current EU Data Protection Directive 95/46.
    Admitting that approaches to personal data protection reflect the varieties in sociocultural as well as legal tradition, the author is hesitant to recommend Korea to introduce right to be forgotten either by legislation or interpretation. It is pointed out that the right to be forgotten has unsolved problems ranging from its concept, to foundation, content, philosophical, leg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e author recommends that at this time of the moment to review the operation of right to erasure of privacy infringing data under Article 44bis of the Information Networks Utilization and Data Protection Act. Considering that the provision itself has been under criticism for its misuse, the European right to be forgotten case suggests not the expans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vision but the restriction of the operation of it in such a way as partial deletion of the sensitive personal data only rather than blinding or deletion of the whole message of a webp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보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