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일본 대지진 당시 일본 경찰의 역할과 정책적 시사점 (The Role of Japanese Police during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and Policy Implication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3.09
28P 미리보기
동일본 대지진 당시 일본 경찰의 역할과 정책적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테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테러학회보 / 6권 / 3호 / 26 ~ 53페이지
    · 저자명 : 남재성

    초록

    우리나라는 더 이상 지진 등 대규모 재난의 안전국가가 아니다. 실제로 소규모 지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태풍과 해일 등 자연재해의 강도가 점차 강해지고 있으며, 끊임 없이 발생하는 인재(人災)가 그것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경찰은 재난 대응 활동이 본질적 직무영역에 포함되는가에 대한 비판적 논의와 관련 법령의 미비, 그리고 이에 따른 소극적 개입으로 인해 재난에 대한 효과적 대응태세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경찰은 지난 2011년 발생한 일본의 동일본 대지진(東日本 大地震)에서 일본 경찰이 수행한 역할과 활동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당시 일본 정부와 관계기관이 부실한 대응으로 인해 중대한 국민적 비판에 직면했음에도 일본경찰은 사태 발생 초기부터 인명구조, 재해 복구 등에 있어 상당한 성과를 나타냈고, 사태 이후에도 관련 법령을 보완하고 제도와 체계를 개선하는 등 지속적인 노력을 전개하고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동일본대지진 당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일본경찰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과연 한국경찰이 어떠한 재난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하는지, 그리고 관련 법령은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해야 하는지를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경찰은 첫째, 「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을 개정하여 일본과 마찬가지로 경찰의 지위와 역할을 보다 명확히 규정하고, 재난 대응에 있어 그 지위를 격상시켜 활동 및 역할과 그 지위가 상호 부합되도록 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찰재난관리규칙」 역시 일본과 같이 재난의 유형을 상세화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보다 구체적으로 명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재난에 대한 보다 신속한 대응을 위해 각 지방경찰청을 단위로 광역적 지원부대를 편성하고 지역경찰관 등 타 분야의 경력을 동원할 수 있는 방안도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본 경찰과 같이 교육훈련의 시간을 대폭 확충하여 현재의 법정 교육훈련 시간을 2배 이상 확대하고, 각 교육훈련의 내용을 명확히 적시하여 내실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간부급 경비 경찰에 대해서는 전문화 교육을 확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재난 발생 이전부터 종료시까지 경찰이 대응해야할 사항과 구체적 대응 방법 등을 상세히 매뉴얼화하고 이에 따른 상세한 대응 지침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Our country is no longer a safe country against major disasters such as earthquake. In fact, small scale earthquakes are continuously occurring, and intensity of natural disaster such as typhoon and tidal wave is gradually intensifying, which is supported by endlessly occurring man-made disasters.
    However, our police has not prepared effective response readiness against disaster due to lack of critical discussion on if disaster response activity should be included in the essential job function, as well as lack of related legislation and passive intervention.
    In the midst of such situation, our police needs to study the role and activities of the Japanese police in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occurred in 2011. In spite of facing critical national criticism at the time due to insufficient response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the Japanese police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life rescue, disaster recovery, etc. from the initial stage of the situation, and made continuous efforts even after the situation ended such as supplementing related legislation and improving policy and system, which presents important implication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se of Japanese police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during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to examine the desirable type of disaster response system that should be established by the Korean police, as well as the desirable direction of change in related legislation.
    The study result revealed that, first, the Korean police should revised the 'Disaster & Safety Management Basic Act' to more clearly define the status and role of the police, as in the case of Japan, and elevate the status of disaster response according to the related activity and role.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specify the type of disaster in the 'Policy Disaster Management Regulation', as in the case of Japan, and more specifically state according measures. Second, it was also found that for more swift response against disaster, regional support units should be organized for each local police agency, as well as specifically preparing a plan to mobilize police force in other areas such as local policemen. Third, it would be necessary to extensively increase education & training time, as in the case of the Japanese policy, to increase the current legal education & training time by twofold and clearly state the contents of each education & training to allow substantial education, while expanding expert education for executive level security policy.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items and specific response methods of policy should be made into manual in specific from the occurrence and end of disaster, as well as prepare according response guideline in specif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전